[덴티움] 시장성 분석 완료, 여전히 저평가된 국내 치과 산업

● 투자포인트

▶ 글로벌 치과 기업들의 고 멀티플 당위성은 시장에 있다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20만원으로 33% 상향. 목표주가 상향은 적용하는국내외 피어 멀티플 평균의 상승이 주요 이유, 14.2배에서 17.4배로 상승

스트라우만은 글로벌 임플란트 시장의 잠재시장 대비 침투율 0.2%, 구매력 시장에 대해 약 2% 수준임을 언급. 당사는 중국, 인도, 베트남, 튀르키예 등 이머징 마켓의 치과 임플란트 시장 추정작업(본문참고) 진행. 경제와 노령인구는 성장하는 반면 실제 임플란트 치료 침투율은 매우 낮은 수준. 중국의 ’22년 침투율은 2.9%로 추산. 한편, 중국 외 신흥국에서도 국산 점유율이 가장 높은 상황. 향후 시장 본격 성장 시 선점 효과 누릴 수 있을 것

글로벌 의료기기 증시에서 치과 분야 수익률은 최상위 수준. 헬스케어 필수재, 고령화 조건과 이머징의 시장 개화를 기반으로 높은 멀티플 형성. 국내 대장주가 된 덴티움은 주가 상승에도 2023년 PER 15배, 스트라우만 43배와 여전히 큰 격차(국내 미용기기는 글로벌과 유사). 성장과 이익률은 동사 우위로 여전히 저평가 구간. 덴티움을 중심으로 다시 한 번 치과 기업들의 리레이팅 기대

< 요약 >​​

▶️ 글로벌 치과 산업의 멀티플은 지속 상승, 핵심은 시장성. 당사는 이머징 국가의 시장 추정작업 진행, 매우 낮은 침투율과 고성장 가능성 확인. 대장주 덴티움을 중심으로 다시 한 번 국내 치과 산업의 리레이팅 기대

개인적 의견 COMMENT

▶️ 비수기를 지나 고성장으로 가는 길목에서 기회 잡기

1분기 매출액 741억원(-1% y-y), 영업이익 207억원(+2% y-y)으로 컨센 하회 전망. 실적 부진은 4분기부터 이어져온 중국 코로나로 인한 연초 중국 수출 저조 탓. 이는 관세청 데이터를 통해 시장에 반영된 상태며, 3월 회복세 확인됨. 2분기부터 실적 회복 기대, 연간 추정치는 기존수준 유지 ‘매수’, 목표주가 30,000원 제시

와이엠텍에 대해 투자의견‘매수’, 목표주가 30,000원으로 제시하며 커버리지 개시. 목표주가 30,000원은 2023년 예상 EPS 1,353원에 PER 21.8x를 적용하여 산출함. PER 21.8x 적용은 글로벌 EV Relay 2위 기업인 중국 Hongfa Technology의 2023년 컨센서스 기준 밸류에이션을 차용함. 고전압화로 인한 EV Relay 시장 개화 관련 와이엠텍의 실적 성장 베타가 높다는 점을 고려하면 무리 없는 수준이라 판단함

※ 자료에 개재된 내용들은 자료작성자의 개인적인 의견을 반영할 뿐이며, 투자 손실이 발생했을 경우 책임지지 않습니다.

※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객관적 자료에 의한 신빙성있는 내용만 기재하며, 내용이 100% 정확하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