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도날드, 16일부터 가격 5.4% 인상

[비즈니스]

맥도날드, 16일부터 가격 5.4% 인상

– 맥도날드가 16일부터 일부 메뉴의 가격을 조정한다고 밝혔습니다.

– 작년 8월 가격 인상 이후 6개월 만인데요.

– 평균 가격 인상률은 5.4%이며 메뉴별로 가격은 100~400원씩 오를 전망입니다.

– 가령, 빅맥과 맥스파이시 상하이 버거 단품은 각각 4,900원에서 5,200원으로 300원씩 인상됩니다.

https://bit.ly/3xbpOPH

[비즈니스]

미국 당국, 미국 2위 가상화폐 거래소 제재

– 미국 증권거래위원회가 미국 2위, 세계 3위의 가상화폐 거래소 크라켄에 대한 제재를 부과했습니다.

– 크라켄은 SEC에 등록하지 않은 서비스를 제공한 혐의로 스테이킹 서비스를 중단하고 3천만 달러의 벌금을 납부하기로 했는데요.

– 스테이킹 서비스란 투자자가 자신의 가상자산을 회사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예치할 경우 보상을 지급하는 서비스를 뜻합니다.

https://bit.ly/3Xl5VAg

[경제]

금융당국, 무차입 공매도 금지 위반 증권사 공개

– 금융당국이 무차입 공매도 금지를 위반해 제재받은 증권사의 이름을 공개했습니다.

– 무차입 공매도란 주식을 빌리지 않고 공매도하는 행위로, 법적으로 금지돼 있는데요.

– 크레디트스위스와 MEAG홍콩, 밸뷰에셋매니지먼트 등 외국계 증권사 5곳이 수천만 원의 과태료 처분을 받았습니다.

https://bit.ly/3IdMJAg

[비즈니스]

메타, 트럼프 전 대통령 계정 복구

– 메타플랫폼(메타)이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계정 차단 조치를 해제했습니다.

– 메타는 2021년 1월 트럼프 전 대통령이 미국 의회 폭동 사건을 선동했다며 SNS 계정을 차단했는데요.

– 대권 도전에 나선 트럼프 전 대통령 측은 이번 계정 복구로 강력한 모금 및 대중접근 수단을 확보하게 됐습니다.

http://bit.ly/3XpNCKd

[사회]

정부, 중국발 입국자 비자발급 내일부터 재개

– 정부가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단기비자 발급 제한을 해제합니다.

– 정부는 중국발 입국자의 양성률이 최근 1%대로 낮아지고, 우려했던 변이도 나타나지 않았다고 밝혔는데요.

– 외교부 당국자는 중국이 한국인에 대해 시행 중인 단기 비자 제한 조치에 대해서도 중국 측과 소통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 관련주 : #리더스코스메틱 #한국콜마홀딩스 #CSA 코믹스 #제이준코스메틱 #토니모리 #호텔신라 #롯데관광개발 #GKL #토비스 #파라다이스

https://bit.ly/3lomwGa

[특징테마]

메디톡스 보툴리눔 균주 도용 관련 민사소송 1심 판결, 대웅제약에 일부 승소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이날 오후 서울중앙지방법원 제 61민사부(재판장 권오석 부장판사)는 메디톡스가 대웅제약 측을 상대로 낸 500억여원 규모의 영업비밀 침해금지 등 청구소송 1심에서 원고 일부 승소 판결했습니다.

재판부는 대웅제약 측이 메디톡스에 400억원을 지급하고, 대웅제약이 일부 균주를 활용해 만든 완제품을 폐기하도록 했습니다.

-> 관련주 : #메디톡스 #제테마

메디톡스, 보툴리눔 톡신 승소에 급등…대웅제약 급락 ::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 (newsis.com)

[특징테마]

美 FCC 아마존 위성 인터넷 서비스 카이퍼 프로젝트 승인 소식 등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美 연방통신위원회(FCC)가 아마존의 위성 인터넷 서비스인 카이퍼(Kuiper) 프로젝트를 위한 위성 발사 계획을 현지시간 8일 공식 승인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에 위성 인터넷 시장에서 스페이스X와 경쟁할 수 있는 아마존 표 위성 인터넷 서비스가 본격화 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아마존은 지난 2020년 연방통신위원회에 지구 저궤도에 3,236개의 인공위성을 발사하고 이를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하겠다는 카이퍼 프로젝트 계획 승인을 신청했고, 잠정 승인 절차를 거친 후 이번에 본격 승인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 관련주 : #AP위성 #쎄트렉아이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양이엔지

美 FCC, 스페이스X 대항마 ‘아마존 카이퍼 프로젝트’ 승인 < 정보통신 < 기사본문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