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첫째 주, 가상화폐 시장 관련 일정 점검
안녕하세요? 코인 투자전략부입니다. 4월 첫째 주, 가상화폐에 영향을 미칠만한 일정들을 체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4월 3일 (월)
미국 ISM 제조업 PMI (예상 47.1)
OPEC+ 장관급 위원회
4월 4일 (화)
유로존 생산자물가지수 (YOY +15%)
미국 JOLTS 고용 및 이직 보고서
호주 금리 결정 0.25BP 인상 유력
OECD 월간 소비자물가지수
미연준 L.매스터 클리블랜드 총재 연설
4월 5일 (수)
중국 차이신 비제조업 PMI
유로존 마켓 서비스업 PMI
미국 ISM 비제조업 PMI (이전 55.1, 예상 54.6)
OECD 경기선행지수
중국, 홍콩 휴장
4월 6일 (목)
중국 차이산 서비스업 PMI
미연준 J.블러드 세인트루인스 총재 연설
인도 금리 결정 0.25BP 인상 유력
4월 7일 (금)
중국 3월 외환보유고 발표
미국 3월 고용 보고서 (비농업 취업자 수, 실업률, 경제활동참가율, 시간당 임금 상승률 발표)
한국 삼성전자 1Q 잠정실적(예정) 매출 -YOY -17.3%, 영업이익 YOY -92.2% 예상
미국, 영국, 홍콩 등 영연방 국가 성금요일로 휴장
가장 중요한 일정은 4월 7일 미국의 고용 보고서입니다.
비농업 취업자 수는 31.3만 -> 24만 명으로 감소 예상
실업률은 3.6% -> 3.6% 변동 없음 예상
경제활동참가율 62.5% -> 62.5% 변동 없음 예상
시간당 임금 상승률(MoM) 0.2% ->0.3 상승 예장
비농업 취업자 수 감소로 실업률이 소폭 증가, 다만 임금 상승률은 소폭 상승, 컨센에서 실업률이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발표 시 시장에 긍정적, 반대로 생각보다 취업률이 견고하다면 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주게 됩니다.
연준은 인플레이션에서 실업률을 즉, 일자리를 가장 중요하게 보는 만큼 실업률의 증가를 확인해야 금리를 동결 OR 인하를 고려하게 됩니다.
그다음으로 중요한 일정은 4월 3일 (월) ISM 제조업 PMI입니다.
다만 시장에 미치는 파급력은 그렇게 크지는 않습니다. 다만 PMI의 감소가 유의미하게 확인된다면 시장에는 더 긍정적인 상황이므로 체크는 해야 합니다.
그리고 그다음으로 연준 총재들의 연설이 중요합니다.
4월 4일 (화) 매스터 총재, 4월 6일 (목) 불러드 총재의 연설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두 총재 모두 연준내 3대 매파에 포함된 총재들로서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 현재 경제 상황에 대해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반드시 체크해야 할 사안입니다. 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겠지만, 향후 FOMC에서의 움직임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가상화폐 투자인데 세계경제 매크로를 보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바로 가상화폐가 기존의 투자시장인 나스닥이나 S&P500과 밀접하게 연관성을 가지고 움직인다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돌발적인 호재나 악재를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는 세계 경제 매크로의 시황을 항상 체크하며 투자해야 합니다.
일정은 항상 중요합니다. 오늘 OPEC에서 감산을 결정하였기에 시장에 단기적인 충격이 있었습니다. 이러한 일정 역시 미리 회의가 열리고 있었기에 일정을 파악하고 있었다면, 크게 놀랄 일은 아니었습니다.
금주도 금요일에 빅 이벤트인 미국 고용 관련 발표가 있습니다. 예상치는 양호하나 변수가 될 수 있는 발표인 만큼 항상 체크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