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노코] 우주와 방산을 한 데 묶어 가는 (feat. 메이트에셋)
● 상승마감 및 원인
1. < 기업개요 >
동사는 2004년 11월에 설립, 2021년 3월에 코스닥 시장에 기술특례로 상장되었다. 위성통신, EGSE&점검장비, 항공전자, 방위산업 관련 핵심부품 개발사업을 영위한다. 매출비중은 위성통신 약 23%, EGSE&점검장비 약 24%, 항공전자 약 7%, 방위산업 관련 핵심부품 약 46%이다(22년 3분기 기준).
2. < 정부의 강력한 우주항공산업 발전의 시기 >
1. 올해는 정부차원에서 ‘우주항공청’ 신설을 진행 중(올해 5월 특별법 제정 및 올해 12월 개청 목표)이며, 올해 6월에는 누리호 3차 발사도 예정되어 있다. 또한 올해 하반기 ‘스타링크’의 국내 서비스 진출 및 ‘원웹(One-Web)’도 국내 위성통신 서비스 출시를 계획 중이다. 동사는 1) 위성탑재체: Customized X-Band Transmitter를 차세대중형위성 1호, 2호에 탑재(Space Heritage) 2) 위성본체: S-Band Transponder는 디지털방식을 적용하여 차세대 소형위성 1호에 탑재 3)위성지상국: 군 위성 사업의 노하우(예: 무궁화 5 호 및 군 전용 통신위성)를 통해 민수시장까지 진출 진행(예: 한국수자원공사와 차세대 위성통신시스템 구축 계약 및 KT SAT 무궁화위성 6A호 관제용 안테나 구축 계약) 4)위성발사체: ‘에비오닉스(Avionics)’사업을 통해 국산 소형 발사체 개발사업에 참여(과학기술정보통신부&대한항공과 공동 추진)하여 동사의 ‘상단엔진 제어기’가 탑재 예정 5) EGSE(전기지상지원장비): 위성탑재체 성능점검 등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통해, 우주항공 산업에 대비하고 있다.
2. K-방산의 성장과도 함께하는 성장모멘텀: 동사는 방위산업에 있어서 핵심부품인 ‘비접촉식 광 및 광전복합 케이블 핵심부품’을 국산화하는데 성공하여, 공군의 KF-21체계개발&육군의 TCN양산&해군의 FFX-ⅡOOO광커넥터 조립체 등에 적용되고 있으며 ‘K-2&MSAM&천궁-Ⅱ’ 등에도 참여하고 있다. 또한 기존 EGSE부문도 방산 장비(육해공군) 성능검사까지 확장되고 있다. 항공전자 핵심부품에서 FA-50/T-50(고정익)에 혼선방지기(DA) / KF-21(보라매, 고정익)에 혼선방지기(IBU)를 탑재하였다. LAH(소형무장헬기)의 인터콤(ICS) 개발사업에 참여, 올해 약 200대분 이상을 양산할 예정이다. 또한 무인기 시장에도 진출하여 XX급 UAV에 적용되는 통합임무컴퓨터(IMC)를 개발 완료하여 올해부터 양산 계획이다.
3. 올해는 실적 본격화로 실적도 성장기대: 22년도에는 매출액 507억원(YoY +11.2%), 영업이익 32억원(YoY -26.4%)로 다소 아쉬운 실적을 기록했다. 23년은 예상 매출액 571억원(YoY +12.6%), 영업이익 60억원(YoY +87.5%)를 전망한다.
● 대응 및 전문 COMMENT

* 위성체와 위성 지상국에서 레퍼런스를 확보한 제노코??? 수혜는 어디까지 기대될지 ?

※ 자료에 개재된 내용들은 자료작성자의 개인적인 의견을 반영할 뿐이며, 투자 손실이 발생했을 경우 책임지지 않습니다.
※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객관적 자료에 의한 신빙성있는 내용만 기재하며, 내용이 100% 정확하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