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 들어는 봤지만 실체가 뭔지 모른다면?

주식이란 ? 

Screen showing changing numbers and progressive graphs

주식을 알아보기 전에 주식회사에 대해서 먼저 말해보겠다.
주식회사는 한 사람이 만든 회사가 아니라 여러 사람이 투자를 해서 만든 회사를 뜻한다. 그런 만큼 책임과 권한도 나눠 갖는다. 물론 코스피, 코스닥, 코넥스, K-OTC 시장에 상장하지 않아도 주식회사는 설립할 수 있다.
주식회사를 설립하려면 자본금 규모와 1주당 금액을 신고해야 한다.
예를 들어 ‘양봉자산’ 주식회사를 설립할 때 자본금 신고액이 10억이고, 1주의 금액이 1만원이라면 주식을 10만 주를 발행해야 한다. 그렇다면 투자자들은 자신이 투자한 금액만큼 10만 주의 주식을 나누어 가지게 된다(100명이 1,000만원씩 투자했다면 1인당 1,000주).
한마디로, 주식은 투자액에 대한 증표라 할 수 있으며, 다른말로는 주식회사의 자본을 구성하는 단위이다. 만약 회원님들이 ‘양봉자산’의 주식 10만 주 중 1주라도 가지고 있으면 ‘양봉자산’의 주주가 되는 것이다.

자본금과 주식의 상관관계 – 증자와 감자

주식회사의 자본금은 늘어나기도, 줄어들기도 한다.. 늘어나면 증자(增資)라 하며, 줄어들면 감자(減資)라고 합니다.

증자와 감자와 주식의 관계는 어떻게 될까요?
증자는 기업이 주식을 추가로 발행해 자본금을 늘리는 것을 뜻한다. 새로 발행하는 주식을 돈을 받고 팔면 유상증자, 무상으로(공짜)주면 무상증자라고 한다.감자는 기업의 규모를 축소하거나 합병할 때 자본금을 줄이는 것을 뜻한다. 감자에도 2가지가 있다. 유상감자는 주주에게 현금을 돌려주고 주식수를 줄이는 것을 말하며, 무상감자는 자본잠식이 있을 때 기업이 재무구조를 건실화하기 위해 아무런 대가 없이 주식 수를 줄이는 것을 뜻한다. 그렇기에 무상감자의 경우에 주주는 감자액 비율만큼 손실을 보게 된다.

무상증자와 유상증자는 언제나 호재인가?
무상증자는 주주에게 주식을 공짜로 나눠주는 것이므로 증시에서 호재로 받아들여 진다. 다만, 기업의 재무 측면에서 살펴보면, 기업 내부에 쌓아 두었던 유보금을 헐어내 그 금액만큼 주식을 발행한 뒤 주주들에게 무상으로 나눠 주는 것이므로, 기업 전체가치 즉 자산의 크기에는 변화가 없다. 그렇기에 주식 숫자가 늘어난 만큼 1주당 가치는 낮아지게 된다.
이론적으로 무상증자를 진행하면 비율만큼 주가가 하락해야 하지만, 실상 그보다는 높은 가격에서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들어 10만원인 A 주식을 100주 보유하고 있을 경우에 20% 무상증자를 받는다면 주식 숫자는 120주로 늘어나는 대신 주가는 무상증자 비율만큼 하락해 8만원에 위치해야 하지만, 실상 주가는 85,000~90,000원 선에서 형성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권리락 당일 주가가 낮게 시작하지만, 무상증자라는 사실을 잊어버리고 주가가 싸 보이는 착시현상이 생기면서 매수세가 들어오기 때문이다. 그래서 무상증자 권리락 당일 급격하게 주가 상승하는 종목이 많이 나타난다. 그렇지만 나중에 무상증자 주식 입고하는 날이 다가오면 주가가 다시 권리락 이전까지 내려오면서 결국에 낮은 가격으로 거래가 된다. 즉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무상증자는 호재도 악재도 아닌 셈이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유상증자는 증자 목적, 발행 금액, 발행 대상자 등에 따라서 호재가 되기도 하고 악재가 되기도 한다. 만약 기업에 돈이 부족한 상황에서 채무를 상환하려고 받는 유상증자라면 악재로 작용할 확률이 높다. 더불어 발행대상자가 주주배정 후 일반공모라면 주가는 크게 하락할 확률이 높다. 반대로 신규투자를 위한 발행 목적에 발행 대상자가 제3자배정이라면 주가가 크게 오를 확률이 높다. 그렇기에 내가 투자하려 했거나 이미 보유한 기업이 유상증자를 발표한다면 공시의 유형과 내용들을 면밀히 살펴본 뒤 참여하는 것이 좋다고 말하겠다.

유통시장과 발행시장

주식은 사고팔 수 있습니다. 주식을 사고파는 곳, 즉 주식을 유통시장과 발행시장으로 나뉩니다.
유통시장은 대형 우량주를 주로 거래하는 ‘코스피‘와 벤처기업 주식을 거래하는 ’코스닥‘과 같이 이미 발행된 주식을 투자자들끼리 사고파는 시장을 발한다. 그리고 발행시장은 신규 상장이나 공모주 청약을 통해 자금 수요자인 기업이 주식을 새로 발행하여 자금 공급자인 투자자들에게 최초로 판매하는 시장을 말한다.
이 유통시장과 발행시장을 통틀어 증권시장이라고 말한다. 증권시장이 있는 덕분에 기업은 필요한 자금을 조달할 수 있고, 개인이나 기관 투자자는 자금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