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켐트로스] LFP 배터리 확대 수혜 첨가제 (Feat.메이트에셋)
● 투자포인트 및 결론
■ 2차전지 소재 Top-tier 기술 보유
켐트로스는 2006년 설립된 종합 화학소재 업체로, 2015년 동부전자재료의 폴리머사업부를 양수하여 소재 사업을 다각화 주요 제품으로 2차전지 전해질 첨가제,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용 특수 접착소재 등을 제조 및 판매
-2022년 기준 매출 비중은 전해질 첨가제 27%, 기타 IT소재 21%, 고분자 접착소재 28%, 의약소재 6%, 상품 18% 첨가제 매출 비중 확대에 따라 2차전지 소재 업종으로 밸류에이션 확장 기대
■ 전해질 첨가제 증설, 양극재 바인더 신소재 개발 모멘텀까지
국내 셀메이커 3사의 LFP 배터리 시장 진출 가속화에 따라 첨가제 매출 성장 전망
켐트로스는 전해액 제조사를 통해 국내 셀메이커 3사로 고온 저항 및 배터리 수명 연장 기능의 첨가제 공급, LFP는 낮은 에너지밀도 개선을 이유로 첨가제 함량 증가할 것으로 예상
■ 2020년 하반기부터 소형전지에서 중대형 EV 및 ESS용 배터리 위주로 공급이 본격 확대, 첨가제 매출은 20년 74억원(17%)>21년 89억원(19%)>22년 154억원(27%)으로 급증 첨가제 수요 대응을 위해 전사 생산능력 2023년말 매출액 기준 1,000억원, 2024년 1,400억원 확대 계획
● 주요이슈 및 실적전망
■ 향후 주목해야할 점은 동사의 PVDF 국산화 가능성
PVDF는 양극재 바인더 제조의 핵심 소재이며, 국내 연간 수입 규모는 약 1,000억원으로 추정 켐트로스는 한국화학연구원에서 PVDF 제조 기술을 이전 받았으며, 국내 유일 파일럿 양산 시설 구축 및 연구 개발을 진행 중인 업체로, 향후 소부장 국산화에 따른 수혜 예상

주가전망 및 Valuation
■ 2023년 매출액 712억원, 영업이익 76억원 전망
-2023년 매출액 712억원(+28.4%, YoY), 영업이익 76억원(+62.0%, YoY)으로 전망
-2023년에도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 매출이 견조한 가운데 2차전지 첨가제의 높은 성장세 이어질 전망
-첨가제 제품 믹스 개선으로 수익성 개선 또한 가능할 전망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5년 1,000억원을 넘어서는 매출 예상
※ 자료에 개재된 내용들은 자료작성자의 개인적인 의견을 반영할 뿐이며, 투자 손실이 발생했을 경우 책임지지 않습니다.
※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객관적 자료에 의한 신빙성있는 내용만 기재하며, 내용이 100% 정확하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