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ning 브리핑

2022. 12. 14 (수) 오전 시황
▶️한국증시
: 코스피 -0.03%, 코스닥 -0.01%, 한국 증시는 금일 CPI 지표 경계 심리와 IRA 개정 관련 불확실성에 따른 약보합. IRA 연내 개정 불발 가능성이 고조되며 완성차 실망 매물 출회. 여기에 지난주 증시를 이끌었던 리오프닝주들이 중국 확진자 증가세에 부진한 움직임. 바이오(글로벌 의약품 공급 부족 대란)/자동차(IRA보조금 불확실)/미디어엔터(리오프닝 실망 매물)/게임(신작 출시 이슈에 따른 차별적 움직임)
▶️미국증시
: 다우존스 0.30%, 나스닥 +1.01%, S&P500 +0.73%, 미국증시는 11월 CPI 예상치 하회로 물가 안정 가속화되며 나스닥은 +3.8% 급등을 보였으나, FOMC를 앞두고 있는점, 연준 긴축 기조 지속 전망에 상승폭 축소. 모더나(MRNA, 피부암 임상 결과 호재)/메타(META, 골드만삭스 2023년 최고의 주식 선정 호재), 테슬라(TSLA, 12월 공장 생산축소 악재), 테크주 강세인 반면 헬스케어 약세. 완성차 업체 수요 부담 지속
▶️일간전략
: 코스피 2,372.40pt/코스닥 715.16pt 마감. 전일 미 증시, EWY(한국 ETF, +1.30%) 상승, 신흥국 ETF, +0.70%) 상승과 원달러 환율 하락/Eurex 코스피200 선물(+0.73%) 상승 마감에. 코스피는 0.6% 내외 상승 출발 예상.
: 최종금리와 경기침체 이슈가 변동성을 키우는 변동성장세에서는 신규 진입 시 지지선&저항선을 정하여 기계적인 매매
: 중국의 정책 완화에 따라 리오프닝 섹터 지속 관심(23년 수요의 중심이 될 수 있을지?)
: 다만 이러한 시그널들이 완화되는 타이밍에는 소외된 저평가주 중심으로 비중 확대(반도체/5G/통신 등)
: 급격하게 하락했던 2차전지 중 IRA 수혜를 받을 수 있는 기업들은 중장기적으로 관심지속.
: 외인/기관 순매수 업종과 낙폭과대 종목 및 산업을 정리하며 포트 압축 대응(일부 2차전지 소재&장비/반도체/통신 등) -> 이미 상승한 기업들은 급할 필요 없음.
: 급하게 오르는 종목은 차익실현 후 현금확보(포트의 30%)
▶️주간전략
: 코스피는 120이평선 지지를 받으며 기술적 반등 구간에 있음. 6일 연속 음봉을 보였지만, 지난주 금요일 양봉은 지지/반등 가능성을 키웠음.
: 시장은 노출된 리스크를 선반영. 다만 긴축조절 기대감보다는 최종금리에 타겟을 두고 대응.
: 현재보다는 미래 전망에 주목(실적과 주가는 시차가 존재하기에), 선행 투자로 향후 숫자로 증명하는 기업들 선정.(2차전지&전력반도체&통신)
: 주도주가 어디가 되는지 추적하며 비중을 조절할 필요가 있음(2차전지vs리오프닝/통신)
: 지수는 기술적 반등 구간에 있지만, 산타랠리 가능성과, Bad is Bad 가능성을 함께 고려하며 보수적 대응.(시장은 우려는 반영, 하지만 실제로 나타나면?)
[금일 증시 일정]
✅수/12월 14일
[한국] 08:00_11월 고용동향(실업률)
[한국] 네이버 쇼핑, 도착보장 배송 개시
[한국]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HD201 허가신청 사전회의
[미국] FOMC 회의
[미국] 21:00_주간 MBA 모기지신청건수
[미국] 22:30_11월 수출입물가지수
[미국] 00:30_주간 원유재고
[영국] 16:00_11월 CPI, PPI
[유로존] 19:00_10월 산업생산
[글로벌] 영화 아바타: 물의 길 개봉
🇺🇸미국실적발표: 레나(L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