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적분석] 차트보는법(기초 2편)
2편 지속……
이동평균선(MA)
– 일정기간 동안의 주가를 산술 평균한 값인 주가이동평균을 차례로 연결해 만든 선.
– 가격 이동평균이라고도 불리며 주로 5 . 10 . 20 . 60 . 120 선이 사용된다.
– 5일 선은 5거래일 동안의 가격의 평균 값으로, 쉽게 5일 동안 거래된 가격의 평균값이라고 보면 된다. 마찬가지로 10일선, 20일선, 60일선 등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 여기서 중요한 점!!
잘 생각해보자. 이동평균선의 뜻은 그 기간 동안 거래된 가격의 평균값이고, 다른 말로는 가장 많은 거래가 그 가격에서 진행됐다는 뜻이다. 즉, 매물대라는 소리이다. 그렇기에 중요 이동평균선은 지지와 저항의 기준이 되며, 그 이동평균선을 바탕으로 골드크로스 매매법과 데스크로스 매매법을 사용할 수 있다.
![](https://mateasset.com/wp-content/uploads/2023/02/이동평균선.png)
골드크로스 :
낮은 이동평균선이 높은 이동평균선을 밑에서 위로 뚫고 올라갈 때를 말하며, 보통 5일선(단기)이 20일선(중기)을 상향 돌파할때를 말한다. 해석은 단기 추세가 중기 추세를 돌파할 때 흐름이 상승이라고 판단해 매수하는 방법이다.
![](https://mateasset.com/wp-content/uploads/2023/02/데드.png)
데드크로스 : 낮은 이동평균선이 높은 이동평균선을 위에서 밑으로 뚫고 내려갈 때를 말하며, 보통 5일선(단기)이 20일선(중기)을 하향 돌파할때를 뜻한다. 해석은 단기 추세가 중기 추세를 하향 돌파할 때 흐름이 하락이라고 판단해 손절 또는 매도하는 방법으로, 수익금을 지키며 손실금을 제한할 수 있다.
정배열
– 낮은 이동평균선이 가장 위에 위치하고 순서대로 높은 이동평균선이 오는것을 뜻한다. 대체로 우상향하는 종목들에서 많이 보이며, 이건 꿀팁인데 정배열인 종목을 매수하게되면 손실볼 확률은 낮고 수익볼 확률은 커진다.
![](https://mateasset.com/wp-content/uploads/2023/02/정배열.jpg)
역배열
– 높은 이동평균선이 가장 위에 위치하고 순서대로 낮은 이동평균선이 오는 것을 뜻한다. 대체로 우하향하는 종목들에서 나타나며, 역배열인 종목을 매수하게 되면 정배열과 반대로 수익은 낮고 손실볼 확률은 높아진다. 이유는 높은 이동평균선이 주가 오를때마다 저항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https://mateasset.com/wp-content/uploads/2023/02/역배열.jpg)
이격도
– 주가 또는 지수를 이동평균치로 나눈 수치로, 흔히 주가와 이동평균선이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주가의 방향성이 나오기에는 이격도가 벌어지면 간격을 좁히려는 성질이 있어, 이평들간의 이격도가 벌어지면 다시 좁히려고 하고, 이를 통해 매매에 적용할 수 있다.
옆의 사진처럼 5일선이 60일선을 크게 하회해서 이격도를 키우면, 이격도를 줄이기 위해 다시 올라올 것이고, 이격도가 커진 7,500원에 매수를 하게되면 1만원에 매도해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이를 상승 이격 매매법이라하며, 거꾸로 돼 있으면 하락이격 매도법이 되겠다.
![](https://mateasset.com/wp-content/uploads/2023/02/이격도.jpg)
눌림목
– 저점에서 매수를 시작한 세력이 가격을 낮추어 매수하기 위해 자신의 보유량 일부를 매도해서 가격이 하락하면 재매수하는 방법으로, 보통은 우상향하는 가운데, 5일선과 20일선이 수렴할때 발생한다.
![](https://mateasset.com/wp-content/uploads/2023/02/눌림목.jpg)
갭
– 호재나 악재를 동반하거나 특정 세력으로 인해 주가가 강하게 오르거나 하락할 때 나오는 모습. 갭이 출현하면 그 다음 움직임은 강하게 오르거나 강하게 빠지는 것이 좋은 모습임. 갭이 발생한다는 것은 그 간격의 매물대를 소화하지 않은 것이라, 이후 연속적으로 바로 오르거나 하락하지 않으면 다시금 갭을 메우는 모습을 보이려는 경향이 있음. 그렇기에 갭으로 크게 오르는 종목을 바로 따라 매수하는 방법은 정말 강한 힘이 동반되는게 아니라면, 갭을 메우려 내려올 수 있으니 접근은 보수적으로 하는 것이 좋다.
![](https://mateasset.com/wp-content/uploads/2023/02/갭.jpg)
이평선 수렴 :
각 이동평균선들은 이격도가 벌어지면 간격을 줄이려고 하는 성질이 있다고 말했다. 이를 이평들이 수렴한다고 표현하는데 주식에서 이동평균선이 수렴을 하게되면 위든 아래든 방향성이 나오려는 성질이 있다. 이동평균선은 그 기간동안 매수한 사람들의 평균가격이라고 위에 말씀드렸다. 그말인즉, 그 기간동안의 사람들의 평균가격이 수렴하는 곳에서는 큰 변동성이 나온다는 것이다.
이동평균선이 모이는 곳을 주목하자!
![](https://mateasset.com/wp-content/uploads/2023/02/이평선-수렴.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