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ening 브리핑
2023. 02. 09 (목) 오후 시황

Fed 인사의 매파 발언과 알파벳 급락에도 갈 길을 가는 주식시장
Fed 인사의 매파 발언이 이어짐. 월러 이사: 예상보다 오랜 기간 금리 인상 지속 필요성 주장, 윌리엄스 뉴 욕 연은 총재: 수 년간 제약적 통화기조의 필요성을 강조. 구글이 공개한 AI 챗봇 ‘바드’의 오답 논란으로 모회사 알파벳 주가는 급락. 국내 증시도 하방 재료를 반영하며 하락 출발했으나 2차전지, 중국 리오프닝주 로 순환매가 강하게 나타나고 중국 증시 반등과도 연동되면서 낙폭을 축소해 마감. 환율과 금리 상승과 대 조적으로 주식시장은 비교적 견조한 흐름을 이어감. KOSDAQ은 3일 연속 상승하며 9월 하락 구간 이전 수준으로 회복, 중기 반등 추세는 강화되고 있으나 단기 RSI(상대강도지수)상 과매수 구간 진입
금융, IT가 주춤한 가운데 2차전지와 중국 리오프닝 순환매가 주도
금융, IT가 주춤한 가운데 2차전지와 중국 리오프닝 수혜주가 순환매를 주도. 대체로 긍정적인 분위기가 이 어지며 한 쪽이 내려가면 다른 한 쪽이 오르면서 레인지 장세가 이어짐. 1) IT: 알파벳 급락 여파에 소프트 웨어를 중심으로 AI 관련 테마 약세를 보였으나 투매 현상은 나타나지 않음. 2) 금융: 실적 발표 및 주주친 화정책 강화 재료 반영 인식과 시장 금리 상승으로 상대적인 배당 매력 감소 영향. 3) 2차전지: 테슬라 주가 가 200달러를 회복, 에코프로그룹의 호실적과 올해 높은 성장세에 대한 기대감 작용, 외국인 중심의 순환매 가 유입. 4) 중국 리오프닝: 중국발 단기 비자 발급 제한 조치의 시일 내 해제 가능성과 춘절 연휴를 기점으 로 중국 내 소비 회복 기조가 나타남. 화장품, 면세점, 카지노를 중심으로 상승
주식 투자심리 개선되며 개인 매수 증가세, 다음 주 물가 지표가 변수
1/25 갭 상승 이후 개인 주식시장 참여 증가, 매수대금은 최근 다시 반등. 매수 대기 자금인 고객예탁금도 바닥을 확인. 연초 이후 반등이 빨랐고 현재 주가와 밸류 부담이 있는 것을 고려하면 주가 조정 구간에 개 인의 참여도는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 다음 주 물가 지표가 주요 변수가 될 것으로 보며 하방 재료 로 작용할 경우 개인의 매수세 유입 강도도 관전 포인트
* 코스피 2,481.52 / -0.09%
* 코스닥 784.58 / +0.59%
• 개인: 코스피(+2,137억) / 코스닥(-144억)
• 외국인: 코스피(+1,495억) / 코스닥(+1,550억)
• 기관: 코스피(-3,842억) / 코스닥(-934억)
📈강세테마: 탄소나노튜브/CCTV/여행/폐기물처리/음성인식/카지노/엔젤산업/백신여권/출산장려정책
📉약세테마: 은행/가상화폐/마켓컬리/마이데이터/소매유통/코로나19/생명보험
🇺🇸금일 야간 미국 발표
[미국] 22:30_1월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지수
– 미국실적발표: 골드만삭스(GS), 모건스탠리(MS), 유나이티드항공(U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