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ning 브리핑
▶️한국증시
: 코스피 +3.37%, 코스닥 +3.31, 한국 증시는 미국 CPI 예상치 하회에 환호하며 강한 반등 이후 중국의 코로나 정책 세부 조치 발표하면서 달러 하락폭 확대되며 한국 증시 상승폭 확대 마감. 카카오 그룹주 공매도 커버링 타겟에 급등. 기술주 강세에 반도체주 급등. 중국 정책 호재에 리오프닝 관련주 강세. 양시장 약 2000개 종목 상승, 300개 하락. 인터넷대표/크래프톤/LCC/IT서비스/화장품 강세, 편의점/담배/무역/식품 약세
▶️미국증시
: 다우존스 +0.10%, 나스닥 +1.88%, S&P500 +0.92%, 미 증시는 전일 차익매물 출회되며 보합출발 했지만, 달러 약세에 힘입어 나스닥 강세. AMD(+5.70%)는 인텔의 위축된 점유율 수혜 가능성에 강세. 헬스케어/유티릴티 제외 기술주 주도 전업종 상승 마감.
▶️일간전략
: 코스피 2,483.16pt/코스닥 731.22pt 마감. 전일 미 증시, EWY(한국 ETF, +4.03%) 상승, 신흥국 ETF(+2.72%) 하락과 원달러 환율 약상승/Eurex 코스피200 선물(+0.58%) 상승 마감에. 코스피는 0.5% 내외 상승 출발 예상.
: 코스피의 V자 반등이후 매물소화/원화강세 지속여부와/매크로 소화 스탠스를 살펴보며 보수적 접근
: 약달러 지속 시 랠리를 보이겠지만, 연준위원들의 발언은 지속해서 주목(최종금리 Level down이냐 아니냐?)
: 민주당 상원 확보에 IRA 법안 수혜주 관심 지속
: 외인/기관 순매수 업종과 낙폭과대 종목 및 산업을 정리하며 투자 기업선정(일부 2차전지 소재&장비/반도체/등) -> 이미 상승한 기업들은 급할 필요 없음.
▶️주간전략
: 산업 내 종목 압축 필요함(Q증가 또는 가격 전가가 가능한 기업), 이번주는 월(부동산 관련), 화(MSFT CEO방한&사이버 보안), 수(에어버스CEO 방한), 목(빈 살만 방한), 금(X)에 주목하며 발 빠르게 매매하는 것이 중요. 현재 시장에서는 연내 미국금리 4.50%, 내년 미국 금리 5.00%까지 반영
: 현재 장을 주도했던 2차전지 산업 관심 지속(장비주+원자재 폐배터리 지속 관심), 낙폭과대도 지속 관심.
: 추세 상승 전환 가정한다면 낙폭과대 종목 중 향후 Q증가로 규모의 경제 실현하는 기업들 관심.
: 지수에 대한 부담은 존재, 현금 비중 30%는 가져가는 전략 유효
[금일 증시 일정]
✅월/11월 14일
- 한국)
- 정부, 서울/경기 4곳 제외 규제지역 해제
- 현대모비스 ‘모트라스’ ‘유니투스’ 출범
- 미국)
- 21:00_OPEC 월간석유시장보고서
- 유로존)
- 19:00_9월 산업생산
- 글로벌)
- 미중 정상, 첫 대면 회담
🇰🇷한국실적발표: 현대엘리베이, 동화기업, JYP Ent, CJ제일제당
🇺🇸미국실적발표: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