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ening 브리핑

● 국내 증시는 경기둔화 우려와 미 증시 부진에 외국인 수급 악화, 네옴시티 관련주(빈살만 방한)/게임주(지스타 및 중국 게임 규제) 상승한 반면 반도체 관련주는 마이크론의 수요 부진 감산 발표에 업황 전망 Level Down 소식에 약세. 외국인은 선물은 강하게 상방을 보이나 옵션의 방향성은 모호한 상황. 반면 기관과 개인은 선물에서 지수 하방.
● 코스피는 의료정밀/통신/서비스업/종이목재 강세, 건설업/금융업/제조업/전기전자/기계 약세
● 코스닥은 통신서비스/오락문화 강세, 방송서비스/화학/금융 약세
● 보수적 전략 유효. 향후 2차전지 산업 관심 지속(장비/폐배터리/도전재/음극재 등), 통신/자동차 부품 낙폭과대 지속 관심. 지수에 대한 부담은 존재하기에 현금 비중 30%는 가져가는 전략 유효
● 장중 달러/원 환율은 1,339.04원 수준. 12월 FOMC에서는 50bp(+85.4%), 75bp(+14.6%) 확률로 반영되고 있으며, 연내 미국 정책금리 4.50% 의견이 유력.(12월 금리인상 50bp 유력)
📈강세테마: 해저터널/철도/온실가스/무선통신/전문소매
📉약세테마: 원자력/반도체(생산)/건설/전자제품
- 코스피 2,442.90 / -1.39%
- 코스닥 737.54 / -0.75%
• 개인: 코스피(+4,871억) / 코스닥(+1,988억)
• 외국인: 코스피(-3,814억) / 코스닥(-967억)
• 기관: 코스피(-1,202억) / 코스닥(-921억)
🇺🇸금일 야간 미국 발표
- 22:30_10월 주택착공&건축허가
- 22:30_11월 필라델피아 연준 제조업지수
- 01:00_11월 캔자스 연준 제조업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