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ning 브리핑

▶️한국증시
: 코스피 +0.06%, 코스닥 -0.76%, 한국 증시는 전일 미 연준위원의 매파적 발언과 경기 침체 우려 부각되며 하락.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협상 분위기 조성에 재건관련주 강세, 중국 게임 관련주/전기차 무선충전 제외하고는 차익매물이 나오며 하락 마감. 외국인은 10시30분 이후 선물 순매도 낙폭 확대하며 지수 하방 압력 강화. 건설기계/캐릭터상품/재건/조선/손해보험/국방 강세, 광고/인터넷대표/전자결제/문구류 약세

▶️미국증시
: 다우존스 +0.59%, 나스닥 +0.01%, S&P500 +0.48%, 미 증시는 콜린스 연은 총재가 12월 회의에서 75bp 인상 가능성 발언에 달러강세와 국채금리 상승에도 불구하고 유틸리티/부동산(리츠) 등 경기방어주 중심 상승. 엔비디아 약세(게이밍 매출 회복시기 지연), 테슬라 약세(소프트웨어 결함에 32만대 리콜), GM 강세(전기차 혁신 확대). 커뮤니케이션/경기민감주/에너지 제외 전업종 상승 마감.

▶️일간전략
: 코스피 2,444.48pt/코스닥 731.92pt 마감. 전일 미 증시, EWY(한국 ETF, +0.64%) 상승, 신흥국 ETF(-0.58%) 하락과 원달러 환율 약하락/Eurex 코스피200 선물(+0.19%) 상승 마감에. 코스피는 0.2% 내외 상승 출발 예상.
: 스포츠행사/생명보험사 섹터 변동성 확대 예상
: 중국관련 OTT/게임 관련주도 긍정적 흐름 예상(반드시 확인)
: 시장은 경기침체 우려가 강해지는 과정에 있기에 환율과 매크로 소화 스탠스를 살피며 보수적 접근
: 외인/기관 순매수 업종과 낙폭과대 종목 및 산업을 정리하며 포트 압축 대응(일부 2차전지 소재&장비/반도체/통신 등) -> 이미 상승한 기업들은 급할 필요 없음.
: 현재 장이 2,400pt에서는 지지를 받을 것으로 보이기에, 2,400에서는 진입 & 2,550 이후로는 실현 전략도 유효해 보임.(2,400 지지 못 받는다면 하방 2,310pt에 도전)

▶️주간전략
: 1)ROE와 OPM이 탄탄한 기업 2)공급부족(초과수요)이 지속되는 기업 3)낙폭과대 상태인 기업 위주로 접근 + 연말 배당관련주
: 코스피가 하락한다고 할때, 2,310pt를 지켜준다면, 연말부터 추세는 확실한 상방으로 전환되었다고 볼 수 있음.
: 1)ROE와 OPM과 3)낙폭과대의 경우 정리한 파일 참고(3Q기준 ROE 5%이상/OPM 5%이상, 1W낙폭과대), 2)공급부족의 경우 블루칼라 업종일 경우가 큼. 실제로 빅테크는 적극적인 구조조정과 재고관리에 들어갔음. 따라서 네옴시티 or 방산 테마가 붙어있는 종목들은 꾸준히 관심을 가져야함.
: Bad is Bad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음.(시장은 우려는 반영, 하지만 실제로 나타나면?)
: 지수에 대한 부담은 존재, 현금 비중 30%는 가져가는 전략 유효

[금일 증시 일정]
✅월/11월 21일
[한국] 12:00 3분기 지역경제동향
[한국] SBW생명과학 재공시 기한
[한국] 신풍제약 재공시 기한
[한국] 한국거래소, 코스닥 글로벌 세그멘트 기업 지정
[한국] 보험분야 규제개선 방안
[미국] 22:30 시카고연은 전미경제활동지수
[중국] 10:15 11월 대출우대금리(LPR) 발표
[독일] 16:00 10월 생산자물가지수(PPI)
[글로벌] 카타르 월드컵 개최
🇺🇸미국실적발표: 델(DELL), 줌 비디어(Z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