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ning 브리핑

▶️한국증시
: 코스피 -1.02%, 코스닥 -1.82%, 한국 증시는 중국 코로나 재확산 우려(6개월만 사망자 발생)에 따른 중국증시 부진과 외국인의 선물 순매도에 약세. 금주 코스피 2,400pt 지지 여부 지속 확인. 달러는 어느새 1,350원대 회복. 다만 장 후반 들어 외국인 선물 매수 유입은 긍정적. 태풍장마/생명보험/미디어/영상콘텐츠/음료 강세, 건설기계/재건/화장품/전기제품 약세
▶️미국증시
: 다우존스 -0.13%, 나스닥 -1.09%, S&P500 -0.39%, 미 증시는 애플(-2.17%)의 폭스콘 공장 고용 일시 중단에 분기 매출 둔화 이슈. 이와 더불어 애플 부품주도 동반 하락(쿼보), 인텔(-3.11%)은 PC산업 부진에 따른 현금 창출 능력 부정적 영향에 투자의견 하향(코웬), 테슬라(-6.84%)는 리콜이슈+암호화폐부진+트위터 관련 테슬라 매도 가능성 등 다양한 악재들이 부각되며 급락. 디즈니(+6.30%)는 아이거 CEO 컴백에 월가 환호하며 강세. WTI는 사우디 증산 소식에 장중 5%이상 하락했지만 이후 사우디의 부인에 다시 $80 회복, 경기방어주/산업재/부동산/유틸리티 제외 전업종 하락 마감.
▶️일간전략
: 코스피 2,419.50pt/코스닥 718.57pt 마감. 전일 미 증시, EWY(한국 ETF, -1.26%) 하락, 신흥국 ETF(-1.26%) 하락과 원달러 환율 약상승/Eurex 코스피200 선물(+0.03%) 상승 마감에. 코스피는 0.2% 내외 상승 출발 예상.
: 금일 일동제약 관련주 움직임 변동성 확대 예상(치매/탈모 등 제약주도 확인)
: 자율주행 관련 기술개발 본격 착수에 관련주 확인
: 반도체-K 칩스법 본격심사에 반도체 소부장들 움직임 확인
: 시장은 경기침체 우려가 강해지는 과정에 있기에 환율과 매크로 소화 스탠스를 살피며 보수적 접근
: 외인/기관 순매수 업종과 낙폭과대 종목 및 산업을 정리하며 포트 압축 대응(일부 2차전지 소재&장비/반도체/통신 등) -> 이미 상승한 기업들은 급할 필요 없음.
: 미국에서는 경기둔화->경기침체 시그널들이 발표되고 있기에, 시장은 보수적으로 대응. 진입 시 지지선&저항선을 정하여 기계적인 매매를 해야 할 타이밍
: 급하게 오르는 종목은 차익실현 후 현금확보(포트의 30%)
▶️주간전략
: 1)ROE와 OPM이 탄탄한 기업 2)공급부족(초과수요)이 지속되는 기업 3)낙폭과대 상태인 기업 위주로 접근 + 연말 배당관련주
: 코스피가 하락한다고 할때, 2,310pt를 지켜준다면, 연말부터 추세는 확실한 상방으로 전환되었다고 볼 수 있음.
: 1)ROE와 OPM과 3)낙폭과대의 경우 정리한 파일 참고(3Q기준 ROE 5%이상/OPM 5%이상, 1W낙폭과대), 2)공급부족의 경우 블루칼라 업종일 경우가 큼. 실제로 빅테크는 적극적인 구조조정과 재고관리에 들어갔음. 따라서 네옴시티 or 방산 테마가 붙어있는 종목들은 꾸준히 관심을 가져야함.
: Bad is Bad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음.(시장은 우려는 반영, 하지만 실제로 나타나면?)
: 지수에 대한 부담은 존재, 현금 비중 30%는 가져가는 전략 유효
[금일 증시 일정]
✅화/11월 22일
[한국] 06:00 11월소비자신뢰지수(동향조사)
[한국] 12:00 3분기 가계신용(잠정)
[한국] 일동제약 경구용 코로나 치료제 일본 긴급사용승인 회의
[미국] 22:55 존슨레드북 소매판매지수
[미국] 00:00 11월 리치몬드 연방 제조업지수
🇺🇸미국실적발표: 메드트로닉(MDT), 달러트리(DLTR), 휴렛팩커드(HPQ), 켐벨수프(CP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