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ning 브리핑

▶️한국증시
: 코스피 +0.96%, 코스닥 +1.74%, 한국 증시는 전일 미국 FOMC 의사록 서 금리인상 속도 조절 기대감과 금일 금통위 25bp 인상 소식을 소화하며 원화 강세, 외국인/기관 양시장 매수에 힘입어 강세 마감. 12시 이후 외국인의 선물 확대에 지수 상승폭 확대 마감. 개별 기업단 이슈가 있는 종목 위주 하락(분할이슈). 메타버스/AR/영화/방송엔터/영상콘텐츠 강세, 해운/비철금속/해운사/정유/통신 약세

▶️미국증시
: 증시 휴장

▶️일간전략
: 코스피 2,441.33pt/코스닥 738.22pt 마감. 원달러 환율 약하락/Eurex 코스피200 선물(+0.16%) 상승 마감에. 코스피는 소폭 상승 출발 예상.
: FOMC의 스탠스가 금리인상 속도조절 가능성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향후 전망은 긍정적. 주간전략에서 제시한대로, 기존 시장을 하락을 이끌었던 리스크들은 시장을 강하게 하락시키기에는 힘이 부족함. 다만, 지난번 이런 스탠스의 재확인에 변동성이 확대된 만큼, 신규 진입 시 지지선&저항선을 정하여 기계적인 매매를 해야 할 타이밍
: 다만 이러한 시그널들이 완화되는 타이밍에는 소외된 저평가주 중심으로 비중 확대(반도체/자동차/철강/은행 등)
: 외인/기관 순매수 업종과 낙폭과대 종목 및 산업을 정리하며 포트 압축 대응(일부 2차전지 소재&장비/반도체/통신 등) -> 이미 상승한 기업들은 급할 필요 없음.
: 급하게 오르는 종목은 차익실현 후 현금확보(포트의 30%)

▶️주간전략
: 1)ROE와 OPM이 탄탄한 기업 2)공급부족(초과수요)이 지속되는 기업 3)낙폭과대 상태인 기업 위주로 접근 + 연말 배당관련주
: 코스피가 하락한다고 할때, 2,310pt를 지켜준다면, 연말부터 추세는 확실한 상방으로 전환되었다고 볼 수 있음.
: 1)ROE와 OPM과 3)낙폭과대의 경우 정리한 파일 참고(3Q기준 ROE 5%이상/OPM 5%이상, 1W낙폭과대), 2)공급부족의 경우 블루칼라 업종일 경우가 큼. 실제로 빅테크는 적극적인 구조조정과 재고관리에 들어갔음. 따라서 네옴시티 or 방산 테마가 붙어있는 종목들은 꾸준히 관심을 가져야함.
: Bad is Bad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음.(시장은 우려는 반영, 하지만 실제로 나타나면?)
: 지수에 대한 부담은 존재, 현금 비중 30%는 가져가는 전략 유효

[금일 증시 일정]

✅금/11월 25일

[중국] 7월 산업이익

[독일] 3분기 경제성장률 

[미국] 블랙 프라이데이 

[미국] 추수감사절 조기휴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