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ning 브리핑

▶️한국증시
: 코스피 -1.39%, 코스닥 -0.75%, 한국 증시는 경기침체 우려와 미 증시 부진에 외국인 수급 악화, 네옴시티 관련주(빈살만 방한)/게임주(지스타 및 중국 게임 규제) 상승한 반면 반도체 관련주는 마이크론의 수요 부진 감산 발표에 업황 전망 Level Down 소식에 약세. 외국인은 선물은 강하게 상방을 보이나 옵션의 방향성은 모호한 상황. 해저터널/철도/온실가스/무선통신/전문소매 강세, 원자력/반도체(생산)/건설/전자제품 약세
▶️미국증시
: 다우존스 -0.02%, 나스닥 -0.35%, S&P500 -0.76%, 미 증시는 불러드 연은 총재의 5%~7% 최종금리 발언 등 연준위원의 긴축 스탠스에 장중 1.6% 하락. 다만 이는 테일러 준칙에 한 것이므로 새로운 발언은 아니었음. 신규실업수당청구는 예상치를 하회했지만, 4주평균과 연속청구는 여전히 상승세. 중국 코로나 정책과 폭스콘 고용 급증에 따라 중국 기업 강세(알리바바/징동닷컴/바이두 등), 경기방어주/기술주 제외 전업종 하락 마감
▶️일간전략
: 코스피 2,442.90pt/코스닥 737.54pt 마감. 전일 미 증시, EWY(한국 ETF, -1.52%) 하락, 신흥국 ETF(+0.18%) 약상승과 원달러 환율 약상승/Eurex 코스피200 선물(-0.49%) 하락 마감에. 코스피는 0.2% 내외 하락 출발 예상.
: 시장은 경기침체 우려가 강해지는 과정에 있기에 환율과 매크로 소화 스탠스를 살피며 보수적 접근
: 낙폭과대로 제시했던 반도체/통신 관련주는 최근 선별적 상승, 그 사이에서 이유있는 주가흐름이 나왔던 종목들 위주로 매물 출회 살펴보다 진입 전략
: 마이크론의 재고조정에 대한 해석이 갈리고 있음. 금일 시장 반응에 따라 재고조정이 시장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판단.
: 전일 시간외, 룽투코리아/엠게임 등 게임관련주 강세를 보였음. 금일 수급 관심 섹터
: 현재 장이 2,400pt에서는 지지를 받을 것으로 보이기에, 2,400에서는 진입 & 2,550 이후로는 실현 전략도 유효해 보임.
: 3분기 실적시즌 종료됨에 따라, 이제는 4분기 실적 호전주를 미리 공부할 필요가 있음
: 외인/기관 순매수 업종과 낙폭과대 종목 및 산업을 정리하며 포트 압축 대응(일부 2차전지 소재&장비/반도체/등) -> 이미 상승한 기업들은 급할 필요 없음.
▶️주간전략
: 산업 내 종목 압축 필요함(Q증가 또는 가격 전가가 가능한 기업), 목(빈 살만 방한), 금(X)에 주목하며 발 빠르게 매매하는 것이 중요. 현재 시장에서는 연내 미국금리 4.50%, 내년 미국 금리 5.00%까지 반영
: 현재 장을 주도했던 2차전지 산업 관심 지속(장비/폐배터리/도전재/음극재 등), 통신/자동차 부품 낙폭과대도 선별적 관심.
: 추세 상승 전환 가정한다면 낙폭과대 종목 중 향후 Q증가로 규모의 경제 실현하는 기업들 관심.
: 지수에 대한 부담은 존재, 현금 비중 30%는 가져가는 전략 유효
[금일 증시 일정]
✅금/11월 18일
- 한국)
- 엔젯 신규상장
- 한국&스페인 정상회담
- 현대모비스, 사업분할 및 자회사 관련 재공시 기한
- 포스코케미칼, GM이어 포드에 양극재 공급 관련 재공시 기한
- 경동인베스트, 자회사 개발 및 조광권 관련 재공시 기한
- 미국)
- 미국 옵션만기일
- 00:00_10월 경기선행지수
- 00:00_10월 기존주택판매
- 03:00_주간원유 채굴장비 수
- 영국)
- 16:00_10월 소매판매
- 일본)
- 08:30_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
- 글로벌)
- APEC 정상회의
🇰🇷한국실적발표: X
🇺🇸미국실적발표: JD닷컴(JD), 리오토(LI), 풋락커(F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