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둘째 주, 가상화폐 시장 관련 일정 점검
안녕하세요? 코인 투자전략부입니다. 4월 둘째 주, 가상화폐에 영향을 미칠만한 일정들을 체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4월 10일 (월)
뉴욕 연은총재 J.윌리엄스
4월 11일 (화)
중국, 3월 소비자-생산자물가지수
시카고 연은 총재 A굴스비,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 발언
4월 12일 (수)
미국 3월 CPI (소비자물가지수) YOY +5.2%, MOM +0.3% 코어 물가 상승 예상
FOMC 3월 회의록 발표, 금리 인상 1차례 추가 여부 주목
이더리움 샤펠라 업그레이드
4월 13일 (목)
미국, 3월 생산자물가지수, MOM +0.0%
중국, 3월 수출입 동향
실적)퍼스트리퍼블릭은행, 델타항공
4월 14일 (금)
미국, 산업 생산-소매판매
미국, 미시간대 소비자 기대 조사
실적) JP모건, 웰스파고, 씨티은행, 블랙록
가장 중요한 일정은 4월 12일 (수) 미국의 CPI 발표 및 의사록 공개, 이더리움 업그레이드
CPI의 경우 유의미한 하락보다는 정체구간을 보여줄 것. 3월 CPI 전년대비 증가율은 크게 둔화. 문제는 Core CPI. 전년대비 변화율 2월 5.5%에서 5.6%로 상승. 5월, 6월 FOMC에서 금리 인상 우려를 자극하고, 23년 하반기 이후 금리 인하 기대를 제어할 수 있는 변화라고 판단
FOMC 의사록 공개, 당시 연준은 물가 전망 상향 조정과 점도표 변화를 통해 물가 제어에 집중하고 있고,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 3월 FOMC 의사록 내용이 시장의 기대를 충족시켜주기 보다는 연준의 매파적인 스탠스를 재확인하는 계기가 될 전망
그다음으로 중요한 일정은 4월 14일 (금)
14일 미국 실물 경제지표들 발표. 소매판매는 2월에 이어 2개월 연속 전월대비 역성장 지속. 3월 광공업 생산은 전월대비 0.3% 증가가 예상되지만, 제조업 생산은 0.1% 감소할 가능성 높음. 미국 경기 둔화/약화가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 2월 노랜딩 기대에 이어 3월 미국 경기는 견조 하다는 기대가 후퇴할 것
이더리움 샤펠라 상하이 업그레이드 4월 12일 (수)
현재 스테이크 된 이더리움을 처음으로 인출이 가능해짐, 현재 330억 달러 상당의 자산이 스테이크 중. 현재 가격을 본다면 절반 이상이 손실구간, 시장이 상승 중이기에 매도 압력이 크지는 않을 것이나, 가격이 흔들리게 되면 매도 물량이 크게 나올 가능성이 있음
샤펠라 업그레이드는 인출 지원에 필요한 5가지 이더리움 향상 제안(EIP)을 포함. 이를 통해 이더리움 실행과 합의 레이어들이 각각 업그레이드될 예정

이번 주는 빅 이벤트가 상당히 많습니다. 우선 알트 코인의 대장 격인 이더리움의 상하이+카펠라 = 샤펠라 업그레이드가 있습니다. 항상 알트 코인들은 비트코인보다는 이더리움 가격에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그 이유는 알트 코인들의 80%가 이더리움을 기반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입니다. 이더리움 스테이킹 물량이 매도가 가능해지며 시장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악재는 아니지만 시장에 매도 물량이 출회될 수 있다는 점은 다소 불안할 수도 있습니다. 무리한 투자보다는 신중히 관찰하면서 매매에 임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미국의 CPI 및 연준 의사록 공개는, 큰 의미는 없지만 연준의 스탠스를 다시 확인할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아마도 연준은 은행 위기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금리 인상을 1회 더 밀어붙일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경기 침체는 아직까지 가시화되지 않았으며 우려 수준이니 연준은 자기의 길을 갈 것이라고 봅니다.
기존 포지션을 정리할 필요는 없지만 신규 매매는 자제하는 것이 더 편안할 한 주라고 봅니다.
모두 성투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