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ening 브리핑

✅한줄요약: 반등자리에서 힘을 쓰지 못하는 코스피, 테마성 종목장세 지속
● 장중 달러/원 환율은 1,303.05원 수준. 23년 1월 FOMC에서는 25bp(+72.6%), 50bp(+27.4%) 확률로 반영되고 있으며, 23년 최종금리 5.00% 수준(23년 9월부터 금리인하 전망)
● 국내 증시는 코스피는 보합권, 코스닥은 +0.70%까지 상승했으나, 중국 관련 노이즈(공작회의 종료 기점으로 경기부양 정책 기대 일단락&집단감염에 따른 경기둔화우려 지속) 이후 변동성을 키우며 코스피 낙폭확대&코스닥 약보합 마감. 주도주가 뚜렷하지 않은 어렵고 재미없는 장세 지속.
● 수산화리튬 가격 상승에 리튬 관련주 강세(하이드로리튬, 어반리튬, 광무), AI챗봇 ‘챗GPT’ 수혜주 강세(솔트룩스, 셀바스AI, 마인즈랩), 농기구 호실적(TYM, 대동, 대동기어), 중국 온라인 수업 전환(소프트캠프, 알서포트, 이씨에스, 링네트)
● 코스피는 볼린저 밴드 하단에서 반등을 시도하고 있으나 예탁금의 지속 하락과 주도주의 부재 등 증시에 부정적인 상황이 지속되며 연기되고 있음. 볼린저 하단은 지켜냈으며 단기적으로 2,420pt 선까지는 반등 여력있으나 이또한 매크로 및 중국 코로나 영향이 중요함.
● 중국 리오프닝 관련주는 제로코로나 해제에 대한 기대감으로 주가가 먼저 반영했던 산업에 대해서는 선별적 접근. 추후 박스권 움직임 전망에 따라 오르지 못했던 종목들 관심
● 기존 시장을 하락을 이끌었던 리스크들은 시장을 강하게 하락시키기에는 힘이 부족함. 다만, 지난번 이런 스탠스의 재확인에 변동성이 확대된 만큼, 신규 진입 시 지지선&저항선을 정하여 기계적인 매매를 해야 할 타이밍
* 코스피 2,352.17 / -0.33%
* 코스닥 717.22 / -0.03%
• 개인: 코스피(-176억) / 코스닥(-36억)
• 외국인: 코스피(-244억) / 코스닥(-315억)
• 기관: 코스피(+282억) / 코스닥(+395억)
📈강세업종: 서비스업/증권/보험/운수창고/의료정밀/기타제조/방송서비스/오락문화
📉약세업종: 섬유,의복/운수장비/의약품/전기가스업/화학/운송/IT부품
📈강세테마: 리튬관련/우주항공국방/소프트웨어/인터넷대표/AI/방송엔터
📉약세테마: 코로나19/출판/자동차/제약/전기유틸리티
🇺🇸금일 야간 미국 발표
[미국] 00:00_12월 NAHB 주택시장지수
– 미국실적발표: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