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ening 브리핑

● 장중 달러/원 환율은 1,288.30원 수준. 23년 1월 FOMC에서는 25bp(+63.0%), 50bp(+37.0%) 확률로 반영되고 있으며, 23년 최종금리 5.00% 수준(23년 11월부터 금리인하 전망)
● 국내 증시는 장초반 전일 미국 하락을 소화하며 상승전환했지만, 일본 BOJ 정책변경 시사에 글로벌 긴축 분위기 재점화되며 양시장 하락 마감. 더불어 중국의 내년 경제 성장률 전망치가 8.1%에서 4.3%로 대폭 하향 조정되며 암울한 전망 지속. 여전히 주도주는 없고 재미없는 장세 지속.
● 코이즈(양극재 첨가제인 나노금속산화물 소재 사업 대량 생산 순항), 수산화리튬 가격 강세에 리튬 관련주 강세(강원에너지, 하이드로리튬, 어반리튬), 제주은행은 시황변동 관련 거래소의 조회공시 요구(21일 오후 6시까지 답변)
● 코스피는 볼린저 밴드 하단에서 반등을 시도하고 있으나 매크로 불확실성에 장중 60일선을 이탈했으나 회복 마감. 현재 증시 분위기는 바닥을 뚫고 내려가도 이상하지 않을 정도이나 단기적으로 바닥은 2,300 지지 여부가 중요해보임.
● 중국 리오프닝 관련주는 제로코로나 해제에 대한 기대감으로 주가가 먼저 반영했던 산업에 대해서는 선별적 접근. 추후 박스권 움직임 전망에 따라 오르지 못했던 종목들 관심
● 금일 일본의 YCC 상단 인상 충격은 시장을 하락 시켰음. 향후 각 정부의 스탠스를 지속 추적해야함. 엔화가 강세일 때는 일본 업체와 경쟁에 놓여있는 국내산 자동차, 부품, 나노부품 들이 가격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음.
* 코스피 2,333.29 / -0.80%
* 코스닥 703.13/ -1.96%
• 개인: 코스피(+1,047억) / 코스닥(+922억)
• 외국인: 코스피(-1,039억) / 코스닥(-722억)
• 기관: 코스피(-268억) / 코스닥(-272억)
📈강세업종: 음식료/증권/보험/금융/출판
📉약세업종: 의료정밀/운수창고/소형주/서비스업/문화기술
📈강세테마: LCD BLU제조/은행/담배/탈모관련/증권/손해보험
📉약세테마: 메타버스/가상현실/해운사/문구류/건축제품
[금일 야간 미국 발표]
[미국] 22:30_11월 주택착공, 건축허가
[미국] 22:55_존슨레드북 소매판매지수
– 미국실적발표: 나이키(NKE), 제너럴밀스(GIS), 페덱스(FD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