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ening 브리핑

● 장중 달러/원 환율은 1,272.47원 수준. 23년 1월 FOMC에서는 25bp(67.7%), 50bp(32.3%) 확률로 반영되고 있으며, 23년 최종금리 5.25% 수준(23년 7월부터 금리인하 전망)
● 국내 증시는 반대 매매 우려와 중국 코로나19 확진자 폭증에 따른 위험자산 선호심리 악화되며 하락마감. 연초증시는 반대매매 우려 재부각. 최근 상승했던 리오프닝주의 차익 실현 하락, 반면 2차전지는 저가 매수 유입되며 상승했으나 지수 하락에 따른 상승폭 축소 마감.
● 주말간 IRA 법안 관련 뉴스_리스차량 보조금 대상 포함 소식에 자동차 관련주 강세(HL만도, 현대차, 기아, 엘앤에프, 포스코케미칼, 삼성SDI, LGES), 중국 코로나19 관련 감기약 수요 폭증(한국유니온제약, 경남제약, 국제약품 등), 중국 코로나 관련 호흡기 부족 우려(피제이전자, 멕아이씨에스, 나노엔텍), SAMG엔터(티니핑, 중국 OTT 1위)
● 코스피는 23년 첫 거래일 연일 저점 갱신하며 하락 마감. 일간 전략 언급대로 2,134pt 까지 하방을 열어두고 대응. 기준선 회복 시 추세 상승 패턴을 노리는 전략 유효.
● 시장에서 크게 부각되지 않았던 반대 매매 관련 노이즈도 나오기 시작하며 신용 잔고 상위 종목들 주의. 반대 매매 물량 출회 가능성도 존재. 박스권 장세에서는 반드시 현금 비중을 유지하며 단기 추세를 잡아야 수익이 남.
● 현재 시장은 호재에는 둔감하고 악재에는 민감한 전형적인 전강후약의 약세장이 지속되고 있으나, 단기 반등의 경우 논리만 맞으면 2~30%씩 가볍게 올라감. 현재 증시가 어렵다고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 논리를 세워 추세를 잡아야 함.
* 코스피 2,225.67 / -0.48%
* 코스닥 671.51 / -1.15%
• 개인: 코스피(+2,194억) / 코스닥(+725억)
• 외국인: 코스피(+85억) / 코스닥(-2,645억)
• 기관: 코스피(-2,645억) / 코스닥(-290억)
ㅁ강세업종: 비금속광물/유통업/전기전자/제조업
ㅁ약세업종: 전기가스업/의료정밀/섬유의복/증권/중소형
ㅁ강세테마: 캐릭터상품/웹툰/자동차/2차전지/리튬
ㅁ약세테마: 전기유틸리티/광고/건설기계/일자리
*금일 야간 미국 발표 *
[미국] 증시휴장
– 미국실적발표: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