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ening 브리핑

● 장중 달러/원 환율은 1,269.86원 수준. 23년 1월 FOMC에서는 25bp(66.6%), 50bp(33.4%) 확률로 반영되고 있으며, 23년 최종금리 5.25% 수준(23년 7월부터 금리인하 전망)

● 국내 증시는 반도체, 금융업종 강세가 주도하며 코스피 상승 마감. 두바이 1경원 규모 투자 소식에 네옴시티/중소형 건설 강세. 대출규제 완화에 은행주 강세. 장초반 양호했던 2차전지 관련주들은 대부분 하락 마감.

● 두바이 1경원 규모의 천문학적 규모 투자에 네옴시티/건설 강세(금호건설/아이에스동서/남광토건/태영건설/삼부토건 등), 연준 고금리 기조 유지와 대출규제 완화 소식이 더해지며 은행주 강세(제주은행/신한지주/카카오뱅크/하나금융지주), 삼성 CES 2023 서 스마트싱크 스테이션 공개하며 IoT 강세(삼진/에스넷/코맥스), 경영권분쟁 소식에 휴마시스 강세, 국내 최초 폐배터리 재활용 기업 TMC 인수 소식에 아이에스동서 강세.

● 반도체는 기준선 잘 유지하며 마감. 적은 거래대금에 공매도 타겟이되면 급락하는 모습이 나오고 있음. 기관들은 선제적으로 포지션을 변경하기에 공매도 타겟 재료가 있으면 피하는게 상책. 더불어 단독뉴스도 지속 주의할 필요가 있음. 급등하는 종목은 적극 차익실현하여 계좌를 방어하는 전략 유효

● 하방 2,134pt까지 열어두고 대응하나, 전일부터 기준선(2,237pt)을 회복했기에, 향후 추세 상승 패턴 추구하는 전략 유효

● 대형주의 연일 하락 후 단기 반등의 경우 논리만 맞으면 2~30%씩 가볍게 올라감. 현재 증시가 어렵다고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 논리를 세워 추세를 잡아야 함.● 실적 시즌에 본격 진입하기 전 투자하는 기업의 추정치는 반드시 정리.

✅한줄요약: 네옴시티 다시금 주도테마로?

* 코스피 2,264.65 / +0.38%

* 코스닥 679.92 / -0.55%

• 개인: 코스피(-1,673억) / 코스닥(+2,351억)

• 외국인: 코스피(+5,087억) / 코스닥(-1,538억)

• 기관: 코스피(-3,532억) / 코스닥(-860억)

* 강세업종: 금융업/증권/서비스업/의약품/건설업

* 약세업종: 운수장비/기계/화학/제조업

* 강세테마: 은행/건설중소/네옴시티/가구/건축제품/호텔

* 약세테마: 2차전지생산/조선/출판/리튬/우주항공국방

* 금일 야간 미국 발표

[미국] 22:15_ADP 비농업 취업자수

[미국] 22:30_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미국] 22:30_11월 무역수지

[미국] 01:00_주간 원유재고 – 미국실적발표: 컨스텔레이션(STZ), 콘아그라(CAG), 월그린(WB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