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ening 브리핑

기대 인플레 상승과 Fed 인사의 매파 발언에 민감주가 반응

기대 인플레이션 상승과 Fed 인사 발언이 국내 증시에 하방 재료로 작용. 미시건대 4월 소비 지표 예비치에서 기대 인플레이션은 전월대비 큰폭으로 상승. 월러 Fed 인사는 더 긴축적인 통화정책 필요성을 언급하며 ‘긴축’이라는 키워드가 다시 시장에 등장. 원/달러 환율 상승과 주가 하락 출발. 중화권 증시 개장 후 지난주 3월 수출 서프라이즈 이후 이번 주 발표될 1분시 성장률에 대한 기대감 작용. 중화권 증시 흐름과 연동되며 국내 증시는 민감주 중심으로 반등 마감. KOSDAQ은 2차전지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장중 고가로 마감해 910p 근접. 지난주와 달리 인플레 + 중국 리오프닝 스타일이 반응하는 모습

 주식시장으로 개인 수급 유입은 긍정적이나 특정 종목 쏠림 현상은 강화

고객예탁금 증가와 증시로의 개인 수급 유입 지속. 주가 방향성에 긍정적이나 다수 종목으로 확산보다는 특정 종목 쏠림 현상은 오히려 강화되는 상황. 개인은 4월 누적으로 KOSPI를 1.3조원 순매도했으나 POSCO홀딩스를 2.6조원 순매수. KOSDAQ 순매수대금의 대부분도 2차전지 밸류체인에 집중. 2차전지 주가의 상단을 예상하기 어려우나 우선적으로 신용융자 물량의 차익실현 여부 확인 필요

✅한줄요약: 경기지표 하회.. 국내 장 지수 선방

* 코스피 2,575.91 / +0.17%

* 코스닥 909.50 / +0.63%

• 개인: 코스피(+3,848억) / 코스닥(+2,461억)

• 외국인: 코스피(-170억) / 코스닥(-492억)

• 기관: 코스피(-3,696억) / 코스닥(-1,826억)

📈강세업종: 철강/전/ESG

📉약세업종: 제약/바이오/자동

📈강세테마: 철강 목/전력설비/풍력에너

📉약세테마: mRNA/코로나19/스마트

/4월 17

– 美) 3월 주택착공, 건축허가(현지시간)

– 美) 골드만삭스 실적발표(현지시간)

– 美) 넷플릭스 실적발표(현지시간)

– 美) 뱅크오브아메리카(BoA) 실적발표(현지시간)

– 美) 존슨앤존슨 실적발표(현지시간)

– 독일) 4월 ZEW 경기기대지수(현지시간)

– 영국) 2월 실업률(현지시간)

– 中) 1분기 GDP

– 中) 3월 소매판매

– 中) 3월 산업생산– 中) 3월 실업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