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ning 브리핑

▶️한국증시
: 코스피 -1.21%, 코스닥 -2.13%, 한국 증시는 중국 코로나 재확산과 봉쇄에 반대하는 시위가 진행되며 안전자산 선호심리 확대에 하락 마감. 장초반 외국인의 선물 매도와 연동되는 지수 흐름을 보였으나, 후반으로 갈수록 외인들은 선물 매수폭 확대. 현대차와 SK온의 합작 소식에 장초반 관련주가 강세였으나, 하락 마감. 위믹스 상장폐지에 따라 코인 관련 전반적인 약세 지속. 웹툰/광물/영화콘텐츠/화장품 강세, 피팅/생물공학/조선/애플페이 약세
▶️미국증시
: 다우존스 -1.45%, 나스닥 -1.58%, S&P500 -1.54%, 미국증시는 중국 내 코로나 확산과 시위 여파로 하락 마감. 여기에 폭스콘 공장 노이즈로 애플도 지속 하락 마감. 또한 불라드, 라가드, 로레타 총재의 금리 인상 지속 발언에 낙폭 확대. 기술주/에너지/부동산 주도 전업종 하락 마감.
▶️일간전략
: 코스피 2,408.27pt/코스닥 717.90pt 마감. 전일 미 증시, EWY(한국 ETF, -1.78%) 하락, 신흥국 ETF(-0.45%) 하락과 원달러 환율 약상승/Eurex 코스피200 선물(-0.37%) 하락 마감에. 코스피는 0.5% 내외 하락 출발 예상.
: 금리인상 속도조절 가능성에도, 연준 위원들의 반대되는 발언에 지수 약세 전망. 30일 파월의장의 스탠스가 매우 중요한 상황.
: 최종금리와 중국의 정책이 또 다시 변동성을 키우는 변동성장세에서는 신규 진입 시 지지선&저항선을 정하여 기계적인 매매
: 다만 이러한 시그널들이 완화되는 타이밍에는 소외된 저평가주 중심으로 비중 확대(반도체/자동차/철강/은행 등)
: 외인/기관 순매수 업종과 낙폭과대 종목 및 산업을 정리하며 포트 압축 대응(일부 2차전지 소재&장비/반도체/통신 등) -> 이미 상승한 기업들은 급할 필요 없음.
: 급하게 오르는 종목은 차익실현 후 현금확보(포트의 30%)
▶️주간전략
: 1)ROE와 OPM이 탄탄한 기업 2)공급부족(초과수요)이 지속되는 기업 3)낙폭과대 상태인 기업 위주로 접근 + 연말 배당관련주
: 12월 1주차는 코스피가 2,500pt를 돌파& 2,400pt유지에 도전하는 주. 코스피 주봉은 지난주와 동일하게 음봉 마감. 다만, 주봉상으로 아직 추세가 무너지지 않았음.
: 1)ROE와 OPM과 3)낙폭과대의 경우 정리한 파일 참고(3Q기준 ROE 5%이상/OPM 5%이상, 1W낙폭과대), 2)공급부족의 경우 블루칼라 업종일 경우가 큼. 실제로 빅테크는 적극적인 구조조정과 재고관리에 들어갔음. 따라서 네옴시티 or 방산 테마가 붙어있는 종목들은 꾸준히 관심을 가져야함.
: 11/30 파월 의장의 연설에 향후 긴축의 방향성이 달려있음.
: 산타랠리 가능성과, Bad is Bad 가능성을 함께 고려하며 보수적 대응.(시장은 우려는 반영, 하지만 실제로 나타나면?)
: 지수에 대한 부담은 존재, 현금 비중 30%는 가져가는 전략 유효
[금일 증시 일정]
✅화/11월 29일
[한국] 사우디, 자치행정부 장관 방한 예정
[한국] 2022 MAMA AWARDS 개최
[한국] 카라 컴백 예정
[미국] 23:00_9월 주택가격지수
[미국] 00:00_11월 소비자신뢰지수
[미국] 미국-러시아 핵군축협정 논의 재개
[미국] 알츠하이머학회(CATD) 개최
[독일] 22:00_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예비치
[일본] 08:30_10월 실업률
[일본] 08:50_10월 소매판매
🇺🇸미국실적발표:인튜이트(INTU), 휴렛패커드(H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