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ning 브리핑

2022. 12. 15 (목) 오전 시황
▶️한국증시
: 코스피 +1.13%, 코스닥 +1.94%, 한국 증시는 11월 CPI 발표 후 인플레 압력 완화 안도감에 상승. 빅테크 상승에 따른 게임/2차전지/반도체 등 테크주 오랜만에 반등. 특히, 2차전지 반발매수 뚜렷. 한화솔루션의 ESS 프로젝트 매각 계획 체결과 씨에스윈드 윈드타워 공급계약 체결 소식에 신재생 에너지 강세. 코로나19/웹툰/게임/지능형로봇 강세, LCC/렌터카/은행/골판지제조/통신/편의점 약세
▶️미국증시
: 다우존스 -0.42%, 나스닥 -0.76%, S&P500 -0.61%, 미국증시는 FOMC 서 파월의장의 연설 이후 변동성 확대 하락 마감. 내년 경제성장률 하향(1.2%->0.5%), 실업률 상향(4.4%->4.6%), 핵심 물가 상향(3.1%->3.5%), 최고 금리 상향(4.6%->5.1%)으로 전일 꺾인 CPI의 기대 심리를 약화시키며 하락. 코로나 백신주(모더나 피부암, 중국 지원 등 이슈), 태양광 테마(글로벌IB의 투자의견 상향) 강세
▶️일간전략
: 코스피 2,399.25pt/코스닥 729.00pt 마감. 전일 미 증시, EWY(한국 ETF, -0.41%) 하락, 신흥국 ETF, +0.05%) 상승과 원달러 환율 하락/Eurex 코스피200 선물(-0.67%) 하락 마감에. 코스피는 0.5% 내외 하락 출발 예상.
: 다소 변동성은 있지만, CME Fed watch 추정 내년 최종 금리는 4.5% 수준으로 여전히 낮은 상태임은 긍정적
: 최종금리와 경기침체 이슈가 변동성을 키우는 변동성장세에서는 신규 진입 시 지지선&저항선을 정하여 기계적인 매매
: 중국의 정책 완화에 따라 리오프닝 섹터 지속 관심(23년 수요의 중심이 될 수 있을지?)
: 다만 이러한 시그널들이 완화되는 타이밍에는 소외된 저평가주 중심으로 비중 확대(반도체/5G/통신 등)
: 급격하게 하락했던 2차전지 중 IRA 수혜를 받을 수 있는 기업들은 중장기적으로 관심지속.
: 외인/기관 순매수 업종과 낙폭과대 종목 및 산업을 정리하며 포트 압축 대응(일부 2차전지 소재&장비/반도체/통신 등) -> 이미 상승한 기업들은 급할 필요 없음.
: 급하게 오르는 종목은 차익실현 후 현금확보(포트의 30%)
▶️주간전략
: 코스피는 120이평선 지지를 받으며 기술적 반등 구간에 있음. 6일 연속 음봉을 보였지만, 지난주 금요일 양봉은 지지/반등 가능성을 키웠음.
: 시장은 노출된 리스크를 선반영. 다만 긴축조절 기대감보다는 최종금리에 타겟을 두고 대응.
: 현재보다는 미래 전망에 주목(실적과 주가는 시차가 존재하기에), 선행 투자로 향후 숫자로 증명하는 기업들 선정.(2차전지&전력반도체&통신&ESS)
: 주도주가 어디가 되는지 추적하며 비중을 조절할 필요가 있음(2차전지vs리오프닝/통신)
: 지수는 기술적 반등 구간에 있지만, 산타랠리 가능성과, Bad is Bad 가능성을 함께 고려하며 보수적 대응.(시장은 우려는 반영, 하지만 실제로 나타나면?)
[금일 증시 일정]
✅목/12월 15일
[한국] 06:00_11월 수출입물가지수
[한국] 12:00_3분기 기업경영분석
[한국] 윤 대통령, 국정과제 점검회의 주재
[한국] 한은총재, 한국방송기자클럽 초청 토론회
[한국] 통계청, 21년 건설업조사 결과
[한국] 카페24, NFT 이커머스 성공 전략 웨비나 개최
[한국] 삼성전자, DX부문 글로벌 전략회의 개최
[한국] 동서식품, 맥심 커피믹스 가격 인상
[미국] 22:30_11월 소매판매
[미국] 22:30_12월 필라델피아&뉴욕주 제조업지수
[미국] 22:30_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미국] 23:15_11월 산업생산
[미국] 00:00_10월 기업재고
[중국] 10:30_11월 주택가격지수
[중국] 11:00_11월 소매판매/산업생산
[중국] 11:00_11월 실업률
[일본] 08:50_11월 무역수지
🇺🇸미국실적발표: 어도비(AD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