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ning 브리핑

2022. 12. 16 (금) 오전 시황
* 다우존스 33,202.2 / -2.25%
* 나스닥 10810.5 / -3.23%
* S&P500 3895.75 / -2.49%
📈강세업종: X
📉커뮤니케이션/기술/원자재
📈강세테마: 채권
📉약세테마: 인터넷/온라인/한국/핀테크/3D프린팅
● 코스피 2,360.97pt/코스닥 722.68pt
– 전일 미 증시, EWY(한국 ETF, 4.33%) 하락, 신흥국 ETF, -2.31%) 하락과 원달러 환율 하락/Eurex 코스피200 선물(-1.46%) 하락 마감에. 코스피는 1% 내외 하락 출발 예상.
● 미국증시
– 전일 중국의 실물지표 위축에 이어 미국의 소매판매 둔화 발표에 경기침체 이슈가 가시화되자 전업종 하락마감. 소비가 대체로 견고했던 것은 사실이나, 임금상승세가 인플레를 따라잡지 못하며 저축률 또한 하락하며 신용카드 사용과 미납이 늘어나고 있다는 분석. 여기에 ECB의 금리 상단폭 상향도 부정적.
● 일간전략
– 다소 변동성은 있지만, CME Fed watch 추정 내년 최종 금리는 5.0% 수준(글로벌리 천천히 길게 올리자는 분위기 조성)
– 최종금리와 경기침체 이슈가 변동성을 키우는 변동성장세에서는 신규 진입 시 지지선&저항선을 정하여 기계적인 매매
– 금투세 노이즈는 당분간 지속될 우려가 있음.
– 중국의 정책 완화에 따라 리오프닝 섹터 지속 관심(23년 수요의 중심이 될 수 있을지?)
– 부정적 시그널들이 완화되는 타이밍에는 소외된 저평가주 중심으로 비중 확대(반도체/5G/통신 등)
– 급격하게 하락했던 2차전지 중 IRA 수혜를 받을 수 있는 기업들은 중장기적으로 관심지속.
– 외인/기관 순매수 업종과 낙폭과대 종목 및 산업을 정리하며 포트 압축 대응(일부 2차전지 소재&장비/반도체/통신 등) -> 이미 상승한 기업들은 급할 필요 없음.
– 급하게 오르는 종목은 차익실현 후 현금확보(포트의 30%)
[금일 증시 일정]
✅금/12월 16일
[한국] 코아스템 상호변경(코아스템켐온)
[한국] 현대홈쇼핑, 재공시기한
[한국] 한국비엠아이, 한국비엔씨 허가 취소
[미국] 선물/옵션 동시 만기일
[미국] 23:45_12월 합성/제조업/서비스업 PMI
[미국] 03:00_주간 원유 채굴장비 수
[유로존] 18:00_12월 합성PMI
[유로존] 19:00_10월 무역수지
[유로존] 19:00_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영국] 16:00_11월 소매판매
[영국] 09:01_12월 GFK소비자신뢰지수
[독일] 17:30_합성/제조업/서비스업 PMI
[일본] 21:30_12월 제조업/서비스업 PMI
🇺🇸미국실적발표: 액센츄어(ACN), 다든레스토랑(D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