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ning 브리핑

✅한줄요약: 매파적 발언을 작정한 주요 인사들, 따라오는 부진한 경제지표

● 코스피 2,360.02pt/코스닥 717.41pt 마감. 전일 미 증시, EWY(한국 ETF, +1.46%) 상승, EEM(신흥국 ETF, +0.29%) 상승과 원달러 환율 하락/Eurex 코스피200 선물(-0.20%) 하락 마감에. 코스피는 보합 출발 예상

● 미국증시는 전일 주요 인사들의 매파적발언과 경제지표(PMI) 부진에 경기 침체 우려 지속되며 위험자산 선호심리 약화. 3대 지수 연속하락&전업종 하락마감. 윌리엄스 뉴욕연은 총재의 매파적 발언(내년 정책금리 예상보다 높게 올릴 수 있음)/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금리 정점 이후 1년 동결 합리적)/메스터 클리브랜드 연은 총재(인플레이션율 지속 하락까지 5%금리 유지 발언), 제조업PMI(11월 44.7->12월 46.2)/서비스업PMI(46.2->44.4)으로 하락하며 경기 수축 국면. ECB/BOE 또한 통화긴축/양적긴축 세부 계획 발표하며 긴축 지속 시사. 

● 일간전략 

– 다소 변동성은 있지만, CME Fed watch 추정 내년 최종 금리는 5.0% 수준(글로벌리 천천히 길게 올리자는 분위기 조성)

– 최종금리와 경기침체 이슈가 변동성을 키우는 변동성장세에서는 신규 진입 시 지지선&저항선을 정하여 기계적인 매매

– 중국 리오프닝 관련해서는 노이즈가 지속되고 있기에, 하락 후 반등을 기대하는 전략

– 금투세 노이즈는 당분간 지속될 우려가 있음. 

– 2차전지 초과공급 노이즈는 지속되는 가운데, 단순 Q 성장보다는 계획적인 CAPEX 투자 기업을 선별하는 것이 중요. 

– 현재 시장은 경기 둔화 혹은 침체를 소화하고 있음. 다만, 견조했던 지표들이 하나씩 부정적으로 나오기 시작했기에, 보수적 시각은 유지(현금 30%) 

– 부정적 시그널들이 완화되는 타이밍에는 소외된 저평가주 중심으로 비중 확대(반도체/5G/통신/2차전지 등)

– 급격하게 하락했던 2차전지 중 IRA 수혜를 받을 수 있는 기업들은 중장기적으로 관심지속.

– 외인/기관 순매수 업종과 낙폭과대 종목 및 산업을 정리하며 포트 압축 대응(일부 2차전지 소재&장비/반도체/통신 등) -> 이미 상승한 기업들은 급할 필요 없음.

* 다우존스 32,920.5 / -0.85%

* 나스닥 10705.4 / -0.97%

* S&P500 3852.36 / -1.11%

📈강세업종: X

📉약세업종: 부동산(-2.50%)/유틸리티(-1.56%)/경기민감주(-1.45%) 

📈강세테마: 헬스케어(+1.65%)/한국(+1.46%)/금(+0.87%)/인터넷(+0.37%)

📉약세테마: 부동산(-2.58%)/태양광(-2.26%)/데이터센터(-2.00%)/유가(-1.89%)

[금일 증시 일정]

✅월/12월 19일

[미국] 00:00_12월 NAHB 주택시장지수

[독일] 18:00_12월 IFO 기업환경지수

[일본] 일본은행(BOJ) 금융정책회의 1일차

🇺🇸미국실적발표: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