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ning 브리핑

✅한줄요약: BOJ 스탠스에도 반발 매수세 유입에 상승, 테슬라는 -8%
● 코스피 2,333.29pt/코스닥 703.13pt 마감. 전일 미 증시, EWY(한국 ETF, +1.39%) 상승, EEM(신흥국 ETF, -0.03%) 상승과 원달러 환율 하락/Eurex 코스피200 선물(+0.40%) 상승 마감에. 코스피는 0.4% 상승 출발 예상.
● 미국증시는 BOJ의 정책 변화에 국채금리 상승하며 하락 출발했으나, 최근 하락에 대한 반발매수가 유입되며 3대 지수 상승전환에 성공. 에버코어의 테슬라(-8.05%) 목표주가 하향($300->$200, 단기적 투자심리 위축), 모더나(+5.94%)는 피부암 관련 실적 개선 가능성에 투자의견 상향조정, 나이키는 시간외 실적 발표에 11%대 상승. 페덱스는 비용 절감 조치 소식에 시간외 3%대 상승.
● 일간전략
– 전일 미 반발매수에, 연일 하락했던 국내증시도 반발매수 유입 기대감이 높은 상황
– 전일 일본의 YCC 상단 조정에 따른 증시 하락은 과도한 수준이었다는 시장분위기(구로다 총재는 향후 금리 인상에 대해 부정)
– 다소 변동성은 있지만, CME Fed watch 추정 내년 최종 금리는 5.0% 수준(글로벌리 천천히 길게 올리자는 분위기 조성)
– 최종금리와 경기침체 이슈가 변동성을 키우는 변동성장세에서는 신규 진입 시 지지선&저항선을 정하여 기계적인 매매
– 테마주를 따라 매매하는 것은 손이 빠르거나 정보가 빠른 분이 아니라면 비추
– 중국 리오프닝 관련해서는 노이즈가 지속되고 있기에, 하락 후 반등을 기대하는 전략
– 금투세 노이즈는 당분간 지속될 우려가 있음.
– 2차전지 초과공급 노이즈는 지속되는 가운데, 단순 Q 성장보다는 계획적인 CAPEX 투자 기업을 선별하는 것이 중요.
– 현재 시장은 경기 둔화 혹은 침체를 소화하고 있음. 다만, 견조했던 지표들이 하나씩 부정적으로 나오기 시작했기에, 보수적 시각은 유지(현금 30%)
– 외인/기관 순매수 업종과 낙폭과대 종목 및 산업을 정리하며 포트 압축 대응(일부 2차전지 소재&장비/반도체/통신 등) -> 이미 상승한 기업들은 급할 필요 없음.
[금일 증시 일정]
✅수/12월 21일
[한국] 공정위, 플랫폼 심사지침 상정
[한국] 스트레이키즈 디지털 앨범 발표
[한국] SBW생명과학, 재공시 기한
[미국] 21:00_주간 MBA 모기지 신청건수
[미국] 22:30_3분기 경상수지
[미국] 00:00_11월 기존주택판매
[미국] 00:30_주간 원유재고
[독일] 16:00_1월 GFK소비자 신뢰지수
미국실적발표: 마이크론(MU), 카니발(CCL)
* 다우존스 32,849.74 / +0.28%
* 나스닥 10547.11 / +0.01%
* S&P500 3821.62 / +0.10%
강세업종:에너지(+1.42%)/원자재(+1.26%)/금융(+0.76%)
약세업종:경기민감주(-1.04%)/부동산(-0.28%)
강세테마:브라질(+3.81%)/광업(+2.63%)/금(+1.66%)/에너지(+1.42%)/
약세테마:수소(-3.04%)/중국IT(-1.47%)/중국친환경(-1.46%)/소매판매(-1.32%)
📈강세업종:에너지(+1.42%)/원자재(+1.26%)/금융(+0.76%)
📉약세업종:경기민감주(-1.04%)/부동산(-0.28%)
📈강세테마:브라질(+3.81%)/광업(+2.63%)/금(+1.66%)/에너지(+1.42%)
📉약세테마:수소(-3.04%)/중국IT(-1.47%)/중국친환경(-1.46%)/소매판매(-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