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ning 브리핑

▶️한국증시

: 코스피 +1.04%, 코스닥 +1.34%, 연준 위원의 매파적 발언에 하락 출발했으나, 장중 중국의 부동산 구제정책 기대감에 증시 강세를 보이며 상승 마감. 대한항공과 아시아나 합병 승인 가능성에 운수창고 업종 강세, 코리안리 무증결정에 강세, 애플관련주는 여전히 약세, 은행/LCC/여행/화장품/면세/카지노 강세, 애플페이/비철금속/디스플레이/가스유틸리티 약세

▶️미국증시

: 다우존스 0.00%, 나스닥 -0.59%, S&P500 -0.16%, 미국증시는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 완화 기대가 부각되며 장 초반 상승했으나, 이어지는 애플의 4분기 출하량 감소 가능성 부각에 하락 전환. 추가로 소비자신뢰지수가 미국의 경기침체 우려를 높이며 부정적인 분위기 연출. (소비자 신뢰지수 102.2->100.2 / 기대지수 77.9->75.4), 유가 상승, 중국/브라질 강세, 미국 친환경/IT 약세, 경기순환/소비 강세, 중국 테마주 강세

▶️일간전략

: 코스피 2,433.39pt/코스닥 727.54pt 마감. 전일 미 증시, EWY(한국 ETF, +2.67%) 상승, 신흥국 ETF(+2.15%) 하락과 원달러 환율 약하락/Eurex 코스피200 선물(-0.27%) 하락 마감에. 코스피는 0.3% 내외 강보합 출발 예상.
: 최종금리와 중국의 정책이 또 다시 변동성을 키우는 변동성장세에서는 신규 진입 시 지지선&저항선을 정하여 기계적인 매매(오르면 적극적인 차익실현 필요)
: 중국의 정책 완화에 따라 리오프닝 섹터 지속 관심
: 외인/기관 순매수 업종과 낙폭과대 종목 및 산업을 정리하며 포트 압축 대응(일부 2차전지 소재&장비/반도체/통신 등) -> 이미 상승한 기업들은 급할 필요 없음.
: 급하게 오르는 종목은 차익실현 후 현금확보(포트의 30%)

▶️주간전략

: 1)ROE와 OPM이 탄탄한 기업 2)공급부족(초과수요)이 지속되는 기업 3)낙폭과대 상태인 기업 위주로 접근 + 연말 배당관련주
: 12월 1주차는 코스피가 2,500pt를 돌파& 2,400pt유지에 도전하는 주. 코스피 주봉은 지난주와 동일하게 음봉 마감. 다만, 주봉상으로 아직 추세가 무너지지 않았음.
: 1)ROE와 OPM과 3)낙폭과대의 경우 정리한 파일 참고(3Q기준 ROE 5%이상/OPM 5%이상, 1W낙폭과대), 2)공급부족의 경우 블루칼라 업종일 경우가 큼. 실제로 빅테크는 적극적인 구조조정과 재고관리에 들어갔음. 따라서 네옴시티 or 방산 테마가 붙어있는 종목들은 꾸준히 관심을 가져야함.
: 11/30 파월 의장의 연설에 향후 긴축의 방향성이 달려있음.
: 산타랠리 가능성과, Bad is Bad 가능성을 함께 고려하며 보수적 대응.(시장은 우려는 반영, 하지만 실제로 나타나면?)
: 지수에 대한 부담은 존재, 현금 비중 30%는 가져가는 전략 유효

[금일 증시 일정]

✅수/11월 30일
[한국] 08:00_10월 산업활동동향
[한국] 12:00_10월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
[한국] 국제 수소전기에너지 전시회
[한국] 현대중공업 노조 파업
[한국] 서울지하철 노조 파업
[한국] 애플, 아이패드 신작 국내 출시
[한국] 22년 10월 관광통계 공표
[한국] 국제 바이오제약 전시회
[미국] 22:15_11월 ADP 취업자 변동
[미국] 22:30_3분기GDP 수정치
[미국] 22:30_10월 상품수지
[미국] 22:30_3분기 PCE 물가지수
[미국] 23:45_11월 시카고PMI
[미국] 00:00_10월 잠정주택판매지수
[미국] 00:00_10월 구인 및 이직(JOLTs) 보고서
[미국] 04:00_연준 베이지북 공개
[유로존] 19:00_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중국] 10:30_11월 제조업/비제조업 PMI
[일본] 08:50_10월 산업생산
[일본] 14:00_10월 건설수주 및 신규주택착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