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ning 브리핑
● 코스피 2,317.14pt/코스닥 694.68pt 마감. 전일 미 증시, EWY(한국 ETF, +0.25%) 상승, EEM(신흥국 ETF, -0.13%) 하락과 원달러 환율 약하락/Eurex 코스피200 선물(+0.18%) 상승 마감에. 코스피는 0.4% 내외 상승 출발 예상.
● 미국증시 휴장
● 일간전략
– 금일까지 개인투자자들 매물 출회 지속과 기관투자자들의 배당락 매수 충돌 확대.
– 장후반 배당희망 매수와 세금 회피 매도가 충돌이 예상됨에 따라 변동성 확대 전망
– 본격적인 상승은 대형주의 추세 전환이 있어야겠지만, 국내 증시가 저평가라는 인식도 존재하기에 구조적인 성장을 보이는 섹터/기업들은 비중확대.
- 다소 변동성은 있지만, CME Fed watch 추정 내년 최종 금리는 5.0% 수준(글로벌리 천천히 길게 올리자는 분위기 조성)
- 최종금리와 경기침체 이슈가 변동성을 키우는 변동성장세에서는 신규 진입 시 지지선&저항선을 정하여 기계적인 매매
- 테마주를 따라 매매하는 것은 손이 빠르거나 정보가 빠른 분이 아니라면 비추
- 중국 리오프닝 관련해서는 노이즈가 지속되고 있기에, 하락 후 반등을 기대하는 전략
– 2차전지 초과공급 노이즈는 지속되는 가운데, 단순 Q 성장보다는 계획적인 CAPEX 투자 기업을 선별하는 것이 중요.
- 현재 시장은 경기 둔화 혹은 침체를 소화하고 있음. 다만, 견조했던 지표들이 하나씩 부정적으로 나오기 시작했기에, 보수적 시각은 유지(현금 30%)
- 부정적 시그널들이 완화되는 타이밍에는 소외된 저평가주 중심으로 비중 확대(반도체/5G/통신/2차전지 등)
– 외인/기관 순매수 업종과 낙폭과대 종목 및 산업을 정리하며 포트 압축 대응(일부 2차전지 소재&장비/반도체/통신 등) -> 이미 상승한 기업들은 급할 필요 없음.
[금일 증시 일정]
✅화/12월 27일
[한국] 06:00_12월 소비자신뢰지수
[한국] 국무회의 개최
[한국] 엔씨소프트 신작 TL 프리뷰 공개
[미국] 22:30_11월 상품수지
[미국] 23:00_10월 주택가격지수
[미국] 00:30_12월 달라스 연준 제조업지수
[중국] 10:30_11월 공업이익
[일본] 구로다 총재 연설
[일본] 08:30_11월 실업률
[일본] 14:00_11월 건설수주 및 주택착공
[글로벌] 영국/홍콩 증시 휴장
미국실적발표: X
* 다우존스 33,230.93 / +0.53%
* 나스닥 10,497.86 / +0.21%
* S&P500 3,844.82 / +0.59%
📈강세업종:에너지(+2.93%)/커뮤니케이션(+1.07%)/유틸리티(+1.06%)
📉약세업종:헬스케어(-0.13%)/기술(-0.08%)
📈강세테마:에너지(+3.19%)/MLP(+2.47%)/유가(+2.39%)/브라질(+2.06%)/소매판매(+1.86%)
📉약세테마:중국인터넷(-2.48%)/중국친환경(-1.96%)/중국경기소비재(-1.66%)/유전공학(-1.63%)/바이오(-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