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ning 브리핑

✅한줄요약: 전기차, 이제 아웃인건가?
● 코스피 2,332.79pt/코스닥 704.19pt 마감. 전일 미 증시, EWY(한국 ETF, +1.07%) 상승, EEM(신흥국 ETF, +1.48%) 상승과 원달러 환율 약하락/Eurex 코스피200 선물(-0.33%) 하락 마감에. 코스피는 배당락 감안 1%내외 하락 출발 예상.
● 미국증시는 중국의 방역전면 해제에도 완성차 니오의 4분기 인도량 축소와 테슬라의 상하이 기가팩토리 중단 소식에 완성차 업체 급락하며 나스닥 주도의 하락 마감. 이에 따라 리비안, 루시드, 니오, 샤오펑 동반 하락. 더불어 전기차 충전 업종인 블링크 차지, 피스커와 2차전지 업종인 퀀텀스케이프, 알버말 등 2차전지 섹터도 하락. 엔비디아의 단기 실적 둔화에 따른 급락도 돋보였음. 중국 리오프닝 여파에 모더나, 화이자, 바이오엔테크 등 백신주 급락 반면, 알리바바, JD닷컴 등 중국 관련주는 강세. ETF 플로우로도 상위종목은 대부분 중국 섹터.
● 일간전략
– 테슬라와 니오 등 완성차의 급락에 따른 국내 2차전지 및 완성차의 주가 하락은 불가피
– 반면, 카지노나 화장품, 의류주 등은 중국 리오프닝 관련 긍정적 전망
– 금일 개인의 대규모 매도와 기관의 대량 매도 충돌 예상, 기관이 적극적으로 매수했던 종목에 대해서는 조심스럽게 접근할 필요.
– 지금은 오르면 적극적으로 차익실현해주는 것이 계좌를 방어하는 방법 중 하나. 하방이 탄탄한 종목들 편입도 계좌를 지키는 방법.
– 본격적인 상승은 대형주의 추세 전환이 있어야겠지만, 국내 증시가 저평가라는 인식도 존재하기에 구조적인 성장을 보이는 섹터/기업들은 비중확대.
– 다소 변동성은 있지만, CME Fed watch 추정 내년 최종 금리는 5.0% 수준(글로벌리 천천히 길게 올리자는 분위기 조성)
– 최종금리와 경기침체 이슈가 변동성을 키우는 변동성장세에서는 신규 진입 시 지지선&저항선을 정하여 기계적인 매매
– 테마주를 따라 매매하는 것은 손이 빠르거나 정보가 빠른 분이 아니라면 비추
– 2차전지 초과공급 노이즈는 지속되는 가운데, 단순 Q 성장보다는 계획적인 CAPEX 투자 기업을 선별하는 것이 중요.
– 현재 시장은 경기 둔화 혹은 침체를 소화하고 있음. 다만, 견조했던 지표들이 하나씩 부정적으로 나오기 시작했기에, 보수적 시각은 유지(현금 30%)
– 부정적 시그널들이 완화되는 타이밍에는 소외된 저평가주 중심으로 비중 확대(반도체/5G/통신/2차전지 등)
– 외인/기관 순매수 업종과 낙폭과대 종목 및 산업을 정리하며 포트 압축 대응(일부 2차전지 소재&장비/반도체/통신 등) -> 이미 상승한 기업들은 급할 필요 없음.
[금일 증시 일정]
✅수/12월 28일
[한국] 12월 배당락일
[한국] 06:00_12월 기업경기실사지(BSI) 및 경제심리지수(ESI)
[한국] 12:00_10월 인구동향
[한국] 정부, 인도-태평양 전략 최종보고서 발표
[한국] 검찰, 이재명 대표 소환
[미국] 21:00_주간 MBA 모기지 신청건수
[미국] 00:00_11월 잠정주택판매지수
[미국] 00:00_12월 리치몬드 연방 제조업지수
[일본] 08:50_BOJ 요약본
[일본] 08:50_11월 산업생산
미국실적발표: X
* 다우존스 33,241.56 / +0.11%
* 나스닥 10,353.23/ -1.38%
* S&P500 3,829.25 / -0.41%
📈강세업종:에너지(+0.61%)/원자재(+0.45%)/경기방어주(+0.31%)
📉약세업종:기술주(-1.12%)/커뮤니케이션(-1.10%)/경기민감주(-1.01%)
📈강세테마:중국인터넷(+5.05%)/중국IT(+4.98%)/중국(+3.93%)/중국경기소비(+3.51%)/중국헬스케어(+3.19%)
📉약세테마:유전공학(-3.55%)/브라질(-3.33%)/블록체인(-2.62%)/태양광(-2.38%)/바이오(-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