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ning 브리핑
![](https://mateasset.com/wp-content/uploads/2023/01/화면-캡처-2023-01-10-083943.png)
● 코스피 2,350.19pt/코스닥 701.21pt 마감. 전일 미 증시, EWY(한국 ETF, +2.14%) 상승, EEM(신흥국 ETF, +0.71%) 상승과 원달러 환율 약하락/Eurex 코스피200 선물(-0.13%) 하락 마감에. 코스피는 약 하락 출발 예상.
● 미국증시는 지난주 금요일 고용동향지수 하락-임금 상승 둔화 지속 가능성에 상승출발 했으나, 장중 경기침체 우려가 지속, 차익매물 출회되며 혼조 마감. 테슬라(+5.93%, 씨티 그룹 4분기 실적 낙관 발표)와 AMD(+5.13%)/엔비디아(+5.18%, 웰스파고 연말까지 데이터센터 향 매출 증가 언급)는 개별 기업 호재로 상승 마감. 반면 룰루레몬(-9.29%, 분기 총 마진이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과 메이시스(-7.68%, 4분기 실적 경고)에 하락 마감
● 일간전략
– 주식 시장은 위험자산 선호심리에 견조한 움직임 지속될 전망. 다만, 지수 단기 급등에 따라 따라가는 전략 보다는 조정받을 때 비중을 늘리는 전략 선호. 외국인의 순매수가 이어진다면 시장은 2,300pt를 회복하고 추세 상승 가능성 존재.
– 더불어 연준 위원들의 덜 매파적인 발언이 지속되고 있기에 연준이 단언했던 23년 금리인상 후 지속은 변동될 여지가 충분하다는 인식이 이어질 듯
– 최근 리오프닝에서 로봇/Ghat GPT 등으로 일정 수급이 이동하고 있음.(주도주 가능성)
– 금융주(주주환원)/건설(정부 부동산 대책)/로봇 or 메타버스(CES2023) 등 관심 지속
– 그 동안 상승하지 못했던 섹터에 대한 순환매 전략 유효(2차전지/원전 등)
– 로봇 중에서도 모든 로봇에 필요한 부분이 어떤 것일까에 대한 고민을 투자전략으로 이어나갈 필요성.
– 중국 리오프닝 관련, 1분기 실적 가시화 여부 반드시 체크, 오르면 적극적으로 차익실현해주는 것이 계좌를 방어하는 방법 중 하나.
– 다소 변동성은 있지만, CME Fed watch 추정 내년 최종 금리는 5.25% 수준(글로벌리 천천히 길게 올리자는 분위기 조성)
– 최종금리와 경기침체 이슈가 변동성을 키우는 변동성장세에서는 신규 진입 시 지지선&저항선을 정하여 기계적인 매매 – 2차전지 초과공급 노이즈는 지속되는 가운데, 단순 Q 성장보다는 계획적인 CAPEX 투자 기업을 선별하는 것이 중요.
✅한줄요약: 빅테크의 귀환? 소비재는 하락.
* 다우존스 33,517.65 / -0.34%
* 나스닥 10,635.65 / +0.63%
* S&P500 3,892.09 / -0.08%
*강세업종: 기술(+1.47%)/경기민감주(+0.91%)/유틸리티(+0.62%)
*약세업종: 헬스케어(-1.37%)/경기방어주(-0.90%)
*강세테마: 수소(+3.80%)/블록체인(+3.06%)/핀테크(+2.34%)/한국(+2.10%)/클라우드(+1.98%)
*약세테마:바이오(-2.15%)/헬스케어(-1.67%)/모멘텀(-1.34%)/필수소비재(-0.98%)/유전공학(-0.97%)
[금일 증시 일정]
✅화/1월 10일
[한국] 08:00_11월 국제수지(잠정)
[한국] 이재명 검찰 출석 예정
[미국] 20:00_12월 중소기업 낙관지수
[미국] 22:00_파월 연준의장 연설
[미국] 00:00_11월 도매재고지수
[일본] 08:30_11월 가계지출
[일본] 19:10_구로다 중앙은행총재 연설
* 미국실적발표: 애콜레이드(ACCD), 베드배스앤드비욘드(BB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