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ning 브리핑

✅한줄요약: 여전히 견조한 서비스 물가, 테슬라 급등에 상승세 지속
● 코스피 2,484.02pt/코스닥 741.25pt 마감. 전일 미 증시, EWY(한국 ETF, +0.49%) 상승, EEM(신흥국 ETF, -0.47%) 하락과 원달러 환율 하락/Eurex 코스피200 선물(+0.47%) 상승 마감. 코스피는 0.3%내외 상승 출발 예상
● 미국증시는 PCE 물가하락에도 여전히 견조한 서비스 물가에 보합출발했으나, 테슬라(+11.00%) 급등에 루시드(+43.00%)/리비안(+8.30%)/니오(+4.44%)/샤오펑(4.39%) 등 전기차 업종이 상승 견인. 특히 머스크는 백악관 고위 관리를 만나 미국 차량 네트워크 관련 논의 소식을 전하며 상승 탄력 가세. 다만 장 마감 직전 대부분 종목들이 경기 위축 우려 속 매물 출회되며 상승폭 반납 마감. 반면 인텔(-6.41%)은 어닝쇼크에 하락 마감.
● 일간전략
– 주말간 AI에 대한 뉴스는 지속적으로 쏟아졌음. 다만, 주가 레벨도 과매수 구간에 있기에 무작정 따라가는 것은 비추천
– 이번주는 FOMC를 앞두고 차익매물과 향후 연준위원들의 스탠스를 추적해야 함.(25bp 인상 후 파월의장이 비둘기적 스탠스를 유지할 것인가?)
– 순환 테마장세가 이어지고 있는데, 결국에는 시가총액 상위주가 올라줘야 증시는 레벨업.
– 많이 상승한 테마 업종보다는 2차전지/반도체/자동차/건설/방산 등에서 가격 매력도를 확보하는 전략 유효
– 증시가 부담스럽기 시작한 구간임에도, MSCI 관련 등 증시에 우호적인 영향을 주는 뉴스들도 존재.(강세장)
– 올해 고환율과 고금리 기조가 일정부분 종료되었기에, 주식시장이 정상화로 나아감에 따라 조정시 비중확대 전략은 유효.
– 단 지금 모두가 환호할 때, 증시가 올랐던 이유를 점검(윌러 이상의 25bp 발언과 IB의 반도체 업종 턴어라운드 발언), 즉 증시가 실적 기대와 금리 고점론에 의해 상승했다면 이제는 추가적인 호재가 따라줘야 함)
– 당연히 많이 오른 기업들, 작년 주도주들 보다는 소외된 업종에서 턴어라운드 기대감이 있는 기업을 찾는것이 좋아보임.
– 지속해서 언급했지만, 대형주의 상승동력만 있다면 바닥에서 2~30%는 쉽게 오름(어려운 주식시장에 포기하면 안 되는 이유)
– 주식시장은 위험자산 선호심리에 견조한 움직임을 보이겠지만, 단기 급등에 따라 조정 후 추세를 타고 진입&비중확대하는 것이 좋아보임.
– 다소 변동성은 있지만, CME Fed watch 추정 내년 최종 금리는 5.00% 수준
* 다우존스 33,978.08 / +0.08%
* 나스닥 11,621.71 / +0.95%
* S&P500 4,070.56 / +0.25%
📈강세업종: 경기민감주(+1.99%)/부동산(+1.05%)/커뮤니케이션(+0.90%)
📉약세업종: 에너지(-1.32%)/원자재(-0.68%)/헬스케어(-0.32%)
📈강세테마: 온라인(+2.80%)/경기소비재(+2.27%)/핀테크(+2.11%)/인터넷(+1.2%)/소매판매(+1.79%)
📉약세테마: 인도(-2.52%)/브라질(-2.52%)/유가(-2.02%)/에너지(-2.02%)/모멘텀(-1.18%)
[금일 증시 일정]
✅월/1월 30일
[한국] LG에너지솔루션 우리사주 보호예수 해제
[한국] 계양전기, 메리츠화재 거래정지
[한국] 오브젠 신규상장
[한국] 게임산업법 개정안
[한국] 실내 마스크 의무->권고 완화
[한국] 특례보금자리론 출시
[한국] 토스모바일 알뜰폰 서비스 출시
[한국] NCT 127 컴백
[미국] 00:30_1월 달라스 연준 제조업지수
[중국] 10:45_1월 제조업&비제조업 PMI
[유로존] 19:00_산업심리지수
[유로존] 19:00_기업환경지수
🇰🇷한국실적발표: SK증권, 한화투자증권, GS건설, 삼성SDI, 에코프로
🇺🇸미국실적발표: NXP반도체(NX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