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ning 브리핑
2023. 02. 01 (수) 오전 시황

✅한줄요약: GM 호실적, 자동차 치킨게임에도 강세?!
● 코스피 2,425.08pt/코스닥 740.49pt 마감. 전일 미 증시, EWY(한국 ETF, -0.79%) 하락, EEM(신흥국 ETF, -0.24%) 하락과 원달러 환율 하락/Eurex 코스피200 선물(+0.40%) 상승 마감. 코스피는 +0.30 % 내외 상승 출발 예상
● 미국증시는 IMF의 세계 경제에 대한 낙관론을 제시, 1월 미국 소비자신뢰지수의 부진에도 불구하고 상승 마감. 23년 1월은 19년 이후 최고 상승률. 특히 작년 부진했던 캐시우드의 ARK이노베이션 ETF는 한 달 동안 27% 상승.(테슬라+39.5%/코인베이스+65%/로쿠+41%)/쇼피파이+41%), 전일 GM(+8.35%) 호실적에 리비안(+7.54%)/포드(+4.81%)/샤오펑(+6.19%) 등 자동차 업종 대부분 강세
● 일간전략
– 미국 증시의 상승에도 재료가 없는 국내 증시는 재미없는 분위기 예상
– 자동차 업종은 치킨게임에도 불구하고, 호실적을 발표하고 있는데, 향후 마진 압박에 대한 대응이 더 중요한 상황.
– 전기차는 향후 자율주행과도 큰 연관이 있기에 반드시 성장해줘야 하는 산업.
– 전일 삼성전자 예상처럼 실망매물 나왔는데, 시간외에서는 또 매수 많이 들어왔기에 추세는 아직 깨지 않았다는 판단. 또 장기적으로 CaPEX 컷을 하지 않으면 치킨게임 승자가 될 가능성도 존재.
– 이번주는 FOMC를 앞두고 차익매물과 향후 연준위원들의 스탠스를 추적해야 함.(25bp 인상 후 파월의장의 스탠스는?? 참고로 투표권 가진 인사 중 2명만이 비둘기파)
– 순환 테마장세가 이어지고 있는데, 결국에는 시가총액 상위주가 올라줘야 증시는 레벨업.
– 많이 상승한 테마 업종보다는 2차전지/폐배터리/우주항공 등에서 가격 매력도를 확보하는 전략 유효
– 올해 고환율과 고금리 기조가 일정부분 종료되었기에, 주식시장이 정상화로 나아감에 따라 조정시 비중확대 전략은 유효.
– 당연히 많이 오른 기업들, 작년 주도주들 보다는 소외된 업종에서 턴어라운드 기대감이 있는 기업을 찾는것이 좋아보임.
– 주식시장은 위험자산 선호심리에 견조한 움직임을 보이겠지만, 단기 급등에 따라 조정 후 추세를 타고 진입&비중확대하는 것이 좋아보임.
– 다소 변동성은 있지만, CME Fed watch 추정 내년 최종 금리는 5.00% 수준(금리 인하 후 4.75%)
*다우존스 34,086.04 / +1.09%
* 나스닥 11,584.55 / +1.67%
* S&P500 4,076.60 / +1.46%
📈�강세업종: 경기민감주(+2.05%)/부동산(+2.01%)/산업재(+1.85%)/원자재(+1.67%)
📉�약세업종: X
📈강세테마: 주택(+4.77%)/수소(+3.89%)/태양광(+3.30%)/운송(+3.19%)/수자원(+3.11%)
📉약세테마: 중국헬스케어(-3.21%)/한국(-0.78%)/중국인터넷(-0.70%)/중국(-0.70%)/중국IT(-0.65%)
[금일 증시 일정]
✅수/2월 1일
[글로벌] 반도체 박람회, 세미콘코리아 2023
[글로벌] 러시아, 유가 상한제 도입국 수출 판매 금지
[글로벌] OPEC+ 장관급 감시위원회 개최
[한국] 삼성전자, 갤럭시 언팩 행사
[한국] 12:00_12월 및 연간 온라인쇼핑동향
[미국] FOMC 회의 발표
[미국] 21:00_주간 MBA 모기지 신청건수
[미국] 22:15_ADP 취업자 변동
[미국] 00:00_1월 ISM 제조업지수
[미국] 00:00_12월 건설지출
[미국] 00:00_12월 JoLTs 보고서
[미국] 00:30_주간 원유재고
[중국] 10:45_1월 차이신 제조업 PMI
[독일] 17:55_1월 제조업 PMI
[유로존] 18:00_1월 제조업 PMI
[영국] 18:30_1월 제조업 PMI
[유로존] 19:00_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예비치
[유로존] 19:00_12월 실업률
kr�한국실적발표: SK하이닉스, 아모레G, 삼성물산, 아모레퍼시픽
🇺🇸�미국실적발표: 메타(META), 알리바바ADR(BABA), 티모바일(TM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