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ning 브리핑
2023. 02. 06 (월) 오전 시황
![](https://mateasset.com/wp-content/uploads/2023/02/오전지수-2.png)
✅한줄요약: 강한 경기, 금리 고점은 다시 5.25%로
● 코스피 2,480.40pt/코스닥 766.79pt 마감. 전일 미 증시, EWY(한국 ETF, -2.61%) 하락, EEM(신흥국 ETF, -1.78%) 하락과 원달러 환율 상승/Eurex 코스피200 선물(-0.60%) 하락 마감. 코스피는 -0.7% 내외 상승 출발 예상
● 미국증시는 견조한 고용지표 발표 후 경기에 대한 자신감&달러 강세 그리고 대형 기술주가 실적 부진 영향에 나스닥 위주 낙폭 확대되며 하락 마감. 아마존(-8.43%)/알파벳(-3.29%)은 실적과 클라우드 서비스 성장에 대한 우려에 하락. 포드(-7.61%) 역시 부진한 실적에 하락. 이에 따라 완성차 업체들 투자심리 약화되며 하락 마감. 반면 애플(+2.44%)은 부진한 실적에 하락출발했으나, 1분기 아이폰 판매 가속화 전망 등 유입되며 상승 전환.
● 일간전략
– 지난주까지 강세장의 기조가 이어졌다면, 금주부터는 조정에 대한 부담감이 존재. 이에 따라 종목마다 기준선을 확실히 정해놓을 필요가 있음.
– 자동차 업종은 치킨게임에도 불구하고, 호실적을 발표하고 있는데, 향후 마진 압박에 대한 대응이 더 중요한 상황. (폐배터리 업체 좋게 보는 이유)
– 많이 상승한 테마 업종보다는 몇몇 2차전지/폐배터리/우주항공/방산 등에서 가격 매력도를 확보하는 전략 유효
– 올해 고환율과 고금리 기조가 일정부분 종료되었기에, 주식시장이 정상화로 나아감에 따라 조정시 비중확대 전략은 유효.
– 당연히 많이 오른 기업들, 작년 주도주들 보다는 소외된 업종에서 턴어라운드 기대감이 있는 기업을 찾는것이 좋아보임.
– 주식시장은 위험자산 선호심리에 견조한 움직임을 보이겠지만, 단기 급등에 따라 조정 후 추세를 타고 진입&비중확대하는 것이 좋아보임.
– 다만, 현재 미국 기준금리의 고점이 지난주 5.00%에서 5.25%로 상승(금리 인하 기대감 소멸 가능성)
– 다소 변동성은 있지만, CME Fed watch 추정 23년 최종 금리는 5.25% 수준(금리 인하 후 4.75%)
* 다우존스 33,926.01 / -0.38%
* 나스닥 12,006.96 / -1.59%
* S&P500 4,136.48 / -1.04%
📈강세업종: X
📉약세업종: 경기민감주(-2.67%)/커뮤니케이션(-2.37%)/유틸리티(-1.95%)/부동산(-1.86%)
📈강세테마: X
📉약세테마:클라우드(-3.99%)/핀테크(-3.97%)/블록체인(-3.85%)/온라인(-3.57%)/인터넷(-3.34%)
[금일 증시 일정]
✅월/2월 6일
[한국] 금융위, STO 가이드라인 발표
[한국] HD현대, 현대오일뱅크 과징금 관련 재공시기한
[한국] 한샘 가격 인상 예정
[중국] 해외 단체여행 재개 예정
[유로존] 19:00_12월 소매판매
[독일] 16:00_12월 공장수주
kr한국실적발표:SK아이이테크놀로지
🇺🇸미국실적발표:액티비전블리자드(ATVI)/온세미컨덕터(ON)/핀더레스트(PI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