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ning 브리핑

✅한줄요약: 구글 지속 약세, FOMO에 당하지 말자.

● 코스피 2,481.52pt/코스닥 784.58pt 마감. 전일 미 증시, EWY(한국 ETF, -0.24%) 하락, EEM(신흥국 ETF, +0.47%) 상승과 원달러 환율 상승/Eurex 코스피200 선물(-0.13%) 하락 마감. 코스피는 -0.2% 내외 하락 출발 전망

● 미국증시는 구글의 AI 바드 논란이 지속되며 나스닥의 하락을 주도. 이와 더불어 지난주까지 상승했던 지수에 차익실현 매물 출회. 그럼에도 테슬라는 3/1 인베스터데이 기대감을 유지한채 주간기준 +10%, 한 달기준 +74% 상승. 저점대비 넷플릭스(+122%)/엔비디아(+106%)/테슬라(+103%)/메타(+101%) 강한 반등. 전반적으로 차익실현 분위기 연출되었지만, 빅테크들의 상승 추세는 여전.

● 일간전략

– 전일 2차전지가 시장을 주도. 모멘텀은 지속될 가능성(3/1 테슬라 인베스터데이, 3/14 유럽 핵심광물법 등)

– 지속해서 테마별로 수급이 돌고 있는데, 가장 무서운 것은 FOMO. 이럴때는 무작정 따라가는 것 보다, 쉬어가는 섹터에서 기회를 찾는것이 좋아보임.

– 지수에 대한 부담도 분명히 존재. 다만, 장기적인 추세 성장이 꺾이지는 않은 상황

– 52주 저점대비 상승을 보이지 못했던 종목들 중, 이익률회복-향후 긍정 전망 등 논리가 받쳐주는 종목들은 매수타이밍

 – 지난주까지 강세장의 기조가 이어졌다면, 금주부터는 조정에 대한 부담감이 존재. 이에 따라 종목마다 기준선을 확실히 정해놓을 필요가 있음.

 – 쉬어가는 테마 속에서 기회를 찾는다면, 사이버보안/OTT/메타버스/원전/자율주행 등이 있음.

 – 자동차 업종은 치킨게임에도 불구하고, 호실적을 발표하고 있는데, 향후 마진 압박에 대한 대응이 더 중요한 상황. (폐배터리 업체 좋게 보는 이유)

 – 올해 고환율과 고금리 기조가 일정부분 종료되었기에, 주식시장이 정상화

로 나아감에 따라 조정시 비중확대 전략은 유효.

 – 주식시장은 위험자산 선호심리에 견조한 움직임을 보이겠지만, 단기 급등에 따라 조정 후 추세를 타고 진입&비중확대하는 것이 좋아보임.

 – 다만, 현재 미국 기준금리의 고점이 지난주 5.00%에서 5.25%로 상승(금리 인하 기대감 소멸 가능성)

 – 전체적으로 금리인상 기조가 늦춰진 것은 사실. 추세 상승을 노려볼만하다고 생각.

 – 다소 변동성은 있지만, CME Fed watch 추정 23년 최종 금리는 5.25% 수준(금리 인하 후 5.00%)


* 다우존스 33,699.88 / -0.73%

* 나스닥 11,789.58 / -1.02%

* S&P500 4,081.50 / -0.88%


📈�강세업종: X

📉약세업종: 커뮤니케이션(-2.86%)/유틸리티(-1.32%)/원자재(-1.13%)

📈강세테마: 중국IT(+2.38%)/중국인터넷(+2.32%)/중국경기소비(+2.17%)/중국(+2.09%)/중국헬스케어(+1.67%)

📉�약세테마: 블록체인(-4.15%)/MLP(-2.61%)/브라질(-2.59%)/의료기기(-2.30%)/커뮤니케이션(-2.19%)

[금일 증시 일정]

✅금/2월 10일

[한국] NAVER 인공지능 전문회사 관련 재공시 기한

[한국] 하나금융지주 자사주 1500억 소각 관련 재공시 기한

[한국] STX중공업, 경영권 지분 매각 관련 재공시 기한

[한국] 휴젤, 상장폐지 고려 관련 재공시 기한

[미국] 00:00_2월 미시건대 소비심리평가지수

[미국] 03:00_주간 원유 채굴장비 수

[중국] 10:30_1월 CPI&PPI

[영국] 16:00_12월 무역수지 및 산업생산

[영국] 16:00_4분기 국내총생산(GDP) 예비치

[독일] 22:00_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예비치

[일본] BOJ 총재 후임 인사

Kr�한국실적발표: 카카오/CJ프레시웨이/NHN

🇺🇸미국실적발표: 마그나(MG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