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ning 브리핑

2023. 2. 14 (화) 오전 시황
✅한줄요약: CPI 앞두고 상승, 최종금리는 왜 더 오르지?
● 코스피 2,452.70pt/코스닥 772.55pt 마감. 전일 미 증시, EWY(한국 ETF, +0.12%) 상승, EEM(신흥국 ETF, +0.86%) 상승과 원달러 환율 하락/Eurex 코스피200 선물(+0.65%) 상승 마감. 코스피는 +0.4% 내외 상승 출발 전망
● 미국증시는 CPI 발표를 앞두고 저가매수 유입되며 상승 마감. 유럽집행위원회는 23년 유럽경제 전망 중 성장 상향/인플레 전망 낮췄음. 특히 1년 후 기대인플레이션은 이전과 동일한 5%로 나옴. 다만 여전히 물가 안정은 멀었다고 평가(미셸보우먼 이사), ETF 플로우로는 중국 관련주들이 상승을 보였고, 미국 주택/클라우드 ETF도 상승. MSFT는 3%대 상승(구글은 +0.15%), 팔란티어 호실적에 시간외 14%대 급등.
● 일간전략
– 지속해서 테마별로 수급이 돌고 있는데, 가장 무서운 것은 FOMO. 이럴때는 무작정 따라가는 것 보다, 쉬어가는 섹터에서 기회를 찾는것이 좋아보임.
– 지수에 대한 부담도 분명히 존재. 다만, 장기적인 추세 성장이 꺾이지는 않은 상황(여전히 강세장)
– 최근 중국 청년들의 사회적 불만이 지속해서 나오고 있는 상황이라, 본격적인 경기부양책이 나올 수 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됨
– 중국향 건설기계 수주를 확보한 업체들에 대해서는 지속해서 관심(+중국인 한국 입국했을 때, 수혜를 보는 곳_면세의류/화장품/카지노/여행/항공 등)
– 52주 저점대비 상승을 보이지 못했던 종목들 중, 이익률회복-향후 긍정 전망 등 논리가 받쳐주는 종목들은 매수타이밍
– 쉬어가는 테마 속에서 기회를 찾는다면, 사이버보안/OTT/메타버스/원전/자율주행 등이 있음.
– 자동차 업종은 치킨게임에도 불구하고, 호실적을 발표하고 있는데, 향후 마진 압박에 대한 대응이 더 중요한 상황. (폐배터리 업체 좋게 보는 이유)
– 올해 고 환율과 고금리 기조가 일정 부분 종료되었기에, 주식시장이 정상화로 나아감에 따라 조정시 비중 확대 전략은 유효.
– 주식시장은 위험자산 선호심리에 견조한 움직임을 보이겠지만, 단기 급등에 따라 조정 후 추세를 타고 진입&비중확대하는 것이 좋아보임.
– 다만, 현재 미국 기준금리의 고점이 지난주 5.25%에서 5.50%로 상승(금리 인하 기대감 소멸 가능성, 이렇게되면 시장에서 5.50%까지는 용인하는 것인가에 대한 의문)
– 다소 변동성은 있지만, CME Fed watch 추정 23년 최종 금리는 5.50% 수준(금리 인하 후 5.00%)
[금일 증시 일정]
✅화/2월 14일
[한국] 12:00_12월 통화 및 유동성동향
[한국] 윤성에프앤씨 보호예수 해제
[미국] 20:00_1월 소기업 낙관지수
[미국] 22:30_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미국] 04:05_윌리엄스 FOMC 위원 연설
[유로존] 19:00_4분기 국내총생산(GDP)
[영국] 16:00_12월 실업률
[일본] 일본은행 총재 후임 인사
[일본] 08:50_4분기 GDP예비치
[글로벌] OPEC 월간 보고서
한국실적발표:현대그린푸드/네오위즈/위메이드/위메이드맥스/ GKL/휴온스/펄어비스�미국실적발표:코카콜라(KO)/에어비앤비(ABNB).아메리카모빌(AMX)/메리어트인터내셔널(MAR)
* 다우존스 34,245.93 / +1.11%
* S&P500 4,137.29 / +1.14%
* 나스닥 11,891.79 / +1.48%
📈강세업종:기술(+1.70%)/경기민감주(+1.52%)/경기방어주(+1.46%)
📉약세업종: 에너지(-0.23%)
📈강세테마:중국인터넷(+3.15%)/중국헬스케어(+2.56%)/중국경기소비재(+2.48%)
📉약세테마:인도(-0.67%)/유가(-0.53%)/금(-0.51%)/에너지(-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