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ning 브리핑

▶️한국증시

: 코스피 -1.84%, 코스닥 -1.03%, 한국 증시는 차익실현 매물 출회와 전일 반도체 수출의 YoY 30% 하락에 업황 우려 커지며 반도체 생산 위주 하락 마감. 대표 3개 종목 외국인 매도. 원 달러 환율은 장중 1,300원을 하회했지만 회복 마감. 코스피는 종이목재/의료정밀 제외 하락. 코스닥은 오락문화/의료정밀.소프트웨어/출판 제외 하락 마감. 4대강 복원/출판/면세점/가구 강세, 모듈러주택/조선/반도체생산/건설대표/건축 약세

▶️미국증시

: 다우존스 +0.10%, 나스닥 -0.18%, S&P500 +0.59%, 미국증시는 고용보고서의 해석과 중국 코로나 정책 완화 소식에 낙폭을 축소하며 혼조 마감. 견고한 고용보고서 결과 여파에 달러 강세를 보였으나, 일부 업종에 국한된 현상이고 대부분 둔화된 고용을 보이자 한 때 상승 전환. 중국의 코로나 정책 완화 소식에 중국 관련주 강세, 특히 자동차 업체인 니오와 샤오펑은 주간 20% 이상 수익률 기록. 원자재/경기방어/헬스케어/산업재 강세

▶️일간전략

: 코스피 2,434.33pt/코스닥 732.95pt 마감. 전일 미 증시, EWY(한국 ETF, +1.44%) 하락, 신흥국 ETF(+0.38%) 상승과 원달러 환율 하락/Eurex 코스피200 선물(+0.14%) 상승 마감에. 코스피는 +0.4% 내외 약상승 출발 예상.
: 최종금리와 중국의 정책이 또 다시 변동성을 키우는 변동성장세에서는 신규 진입 시 지지선&저항선을 정하여 기계적인 매매
: 중국의 정책 완화에 따라 리오프닝 섹터 지속 관심
: 다만 이러한 시그널들이 완화되는 타이밍에는 소외된 저평가주 중심으로 비중 확대(반도체/자동차/5G/통신 등)
: 외인/기관 순매수 업종과 낙폭과대 종목 및 산업을 정리하며 포트 압축 대응(일부 2차전지 소재&장비/반도체/통신 등) -> 이미 상승한 기업들은 급할 필요 없음.
: 급하게 오르는 종목은 차익실현 후 현금확보(포트의 30%)

▶️주간전략

: 1)ROE와 OPM이 탄탄한 기업 2)공급부족(초과수요)이 지속되는 기업 3)낙폭과대 상태인 기업 위주로 접근 + 연말 배당관련주
: 12월 2주차는 코스피가 2,500pt를 돌파& 2,400pt유지에 도전하는 주. 코스피 주봉은 윗꼬리가 긴 양봉 마감. 현재 수준에서 지지 후 상승 추세를 기대해 볼 만한 자리에 있음.
: 1)ROE와 OPM과 3)낙폭과대의 경우 정리한 파일 참고(3Q기준 ROE 5%이상/OPM 5%이상, 1W낙폭과대), 2)공급부족의 경우 블루칼라 업종일 경우가 큼. 실제로 빅테크는 적극적인 구조조정과 재고관리에 들어갔음. 따라서 네옴시티 or 방산 테마가 붙어있는 종목들은 꾸준히 관심을 가져야함. + 반도체/IT부품
: 또한 가격매력도가 있는 반도체/IT전기/전자/부품/ 5G 등 향후 업종의 실적 턴어라운드가 나올 수 있는 종목을 발굴하는 노력 지속
: 산타랠리 가능성과, Bad is Bad 가능성을 함께 고려하며 보수적 대응.(시장은 우려는 반영, 하지만 실제로 나타나면?)
: 지수에 대한 부담은 존재, 현금 비중 30%는 가져가는 전략 유효

[금일 증시 일정]
✅월/12월 5일

[한국] 06:00_11월 외환보유액
[한국] 과기부, 5G 28GHz 추파수 할당 취소 청문회 개최
[한국] 둔촌주공, 입주자 청약
[한국] 오픈이노베이션 플라자
[미국] 22:30_10월 무역수지
[미국] 23:45_11월 서비스업/합성 PMI
[미국] 00:00_11월 ISM 비제조업지수
[중국] 10:45_11월 서비스업 PMI
[일본] 09:30_11월 서비스업 PMI
[유로존] 19:00_10월 소매판매
[글로벌] 러시아산 원유 및 가격 상한제 시행
[글로벌] G7, 러시아산 원유 관련 서비스 금지 예정
🇺🇸미국실적발표: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