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ning 브리핑

2023. 02. 20 () 오전 시황

✅한줄요약: 불러드 +50bp 급습  

● 코스피 2,451.21pt/코스닥 775.62pt 마감. 전일 미 증시, EWY(한국 ETF, -0.91%) 하락, EEM(신흥국 ETF, 1.10%) 하락과 원달러 환율 약하락/Eurex 코스피200 선물(-0.02%) 하락 마감. 코스피는 강보합 출발 전망

● 미국증시는 연준위원들의 +50bp 인상에 대한 발언이 이어지며, 긴축에 대한 긴장감이 커지며 하락 마감. BoA는 6월 FOMC까지 금리인상이 이어지더라도, 24년에는 금리인하가 시작될 것이라는 전망 유지. Fed Watch CME 기준 연내 금리 상단 5.5%, 12월 금리인하 후 상단 5.25%. 테슬라는 중국 모델 Y 가격 인상과 수요증가-공급증가의 선순환에 강세.

● 일간전략

– 미국증시가 막판에 힘을 받아 낙폭을 축소하거나 상승 반전한 부분은 국내 증시에 긍정적. 더불어 환율도 소폭 하락. 2차전지-반도체 매물과 개별 이슈 종목 장세 지속 예정.

– 테슬라의 상승에 따라 관련 밸류체인은 지속해서 스터디. 특히 4680 배터리, 건식 공정에 대한 관심은 지속(실제로 원통형 캔 업체들 지속 상승. 나노신소재도 CNT 도전재가 건식 공정에서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전망. 특히 SWCNT 도전재+실리콘음극재)

– 강세장은 지속될 것으로 보여짐. 지수는 2,500을 저항으로 계속해서 돌파를 시도하고 있지만, 하루 빨리 뚫어줘야 함. 이를 돌파하는데에도 소모되는 수급들이 있기 때문.

– 달러 강세가 지속되면 2,500 돌파는 쉽지 않은 상황. (하루 빨리 뚫어줘야 함. 이를 돌파하는데에도 소모되는 수급들이 있기 때문)

– 여기에 물가 피크아웃 이후 고물가에 대한 시장의 해석이 달라지면 시장은 조정받을 것. 이 때, 비중을 늘려가는 전략도 유효.

– 반도체는 턴어라운드 전망이 계속해서 나오고 있기에, 관심 지속. (AI 강세 이후 이를 소화하기 위한 HBM 쪽 관심, 특히 후공정)

– 이제는 실적을 보여줬거나 보여준 기업들 중 소외되어 주가 반영이 이루어지지 않은 기업들에 관심.

– 지속해서 테마별로 수급이 돌고 있는데, 가장 무서운 것은 FOMO. 이럴때는 무작정 따라가는 것 보다, 쉬어가는 섹터에서 기회를 찾는것이 좋아보임.

– 지수에 대한 부담도 분명히 존재. 다만, 장기적인 추세 성장이 꺾이지는 않은 상황(여전히 강세장)

– 최근 중국 청년들의 사회적 불만이 지속해서 나오고 있는 상황이라, 본격적인 경기부양책이 나올 수 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됨

– 중국향 건설기계 수주를 확보한 업체들에 대해서는 지속해서 관심(+중국인 한국 입국했을 때, 수혜를 보는 곳_면세의류/화장품/카지노/여행/항공 등)

– 52주 저점대비 상승을 보이지 못했던 종목들 중, 이익률회복-향후 긍정 전망 등 논리가 받쳐주는 종목들은 매수타이밍

 – 쉬어가는 테마 속에서 기회를 찾는다면, 사이버보안/OTT/메타버스/원전/자율주행 등이 있음.

 – 다만, 현재 미국 기준금리의 고점이 지난주 5.25%에서 5.50%로 상승(금리 인하 기대감 소멸 가능성, 이렇게되면 시장에서 5.50%까지는 용인하는 것인가에 대한 의문)

 – 다소 변동성은 있지만, CME Fed watch 추정 23년 최종 금리는 5.50% 수준(금리 인하 후 5.25%)

[금일 증시 일정]

✅월/2월 20일

[한국] 12:00_4분기 및 연간 지역경제동향

[한국] 이노진 신규상장

[한국] 에스엠 기업설명회

[한국] 나노팀 공모청약

[한국] 넷마블-카카오엔터, 메이브 웹툰 연재

[한국] 롯데제과, 편의점 빵 가격 인상

[미국] 바이든, 폴란드 방문 예정

[미국] 증시휴장

[중국] 10:15_2월 대출우대금리(LPR)

* 다우존스 33,826.69 / +0.39%

* S&P500 4,079.09 / -0.28%

* 나스닥 11,787.27 / -0.58%

📈강세업종:유틸리티(+1.00%)/경기방어(+0.97%)/헬스케어(+0.89%)

📉약세업종:에너지(-3.00%)/기술(-1.24%)/원자재(-1.21%)

📈강세테마:블록체인(+1.47%)/필수소비(+1.29%)/저변동성(+1.15%)

📉약세테마:2차전지(-3.96%)/에너지(-3.56%)/중국인터넷(-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