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ning 브리핑

▶️한국증시
: 코스피 -1.08%, 코스닥 -1.89%, 한국 증시는 전일 미국 경제 지표에 달러 강세-원화 약세의 상황에서 외국인 매도세 확대되며 코스피/코스닥 4영업일 연속 음봉 마감. 편의점 등 유통업체는 내년 견조한 실적 전망에 강세(보고서 영향). 반면 반도체, 우크라이나 재건 등 하락. 코스피는 의약품 강세, 섬유의복/운수창고/건설업/서비스업 약세, 코스닥은 운송/통신서비스/종이목재 강세, 필수소비재/디지털컨턴체 약세
▶️미국증시
: 다우존스 -1.03%, 나스닥 -2.00, S&P500 -1.44%, 미국증시는 시장에서 지속되는 경기침체 이슈에 하방 압력 가중. JP모건 CEO의 인플레의 경기침체 유발 가능성 언급에 낙폭 확대. 메타(-6.79%) 주도 광고 독점 금지법 이슈까지 겹쳐 빅테크 매물 출회. ETF 추이로 국가별로는 중국과 브라질 강세, 유가(-3.68%)/태양광(-3.43%)/수소(-3.35%)/유전공학(-3.24%)/커뮤니케이션(-2.88%) 하락. 경기침체 이슈에 루시드(-8.27%), 리비안(-5.55%) 등 완성차 업체 지속 하락
▶️일간전략
: 코스피 2,393.16pt/코스닥 719.44pt 마감. 전일 미 증시, EWY(한국 ETF, -1.69%) 하락, 신흥국 ETF(-0.13%) 하락과 원달러 환율 상승/Eurex 코스피200 선물(-0.68%) 하락 마감에. 코스피는 0.5% 내외 하락 출발 예상.
: 최종금리와 경기침체 이슈가 변동성을 키우는 변동성장세에서는 신규 진입 시 지지선&저항선을 정하여 기계적인 매매
: 코스피 지수가 2,400pt를 회복 마감하는지 추적.
: 중국의 정책 완화에 따라 리오프닝 섹터 지속 관심
: 다만 이러한 시그널들이 완화되는 타이밍에는 소외된 저평가주 중심으로 비중 확대(반도체/자동차/5G/통신 등)
: 외인/기관 순매수 업종과 낙폭과대 종목 및 산업을 정리하며 포트 압축 대응(일부 2차전지 소재&장비/반도체/통신 등) -> 이미 상승한 기업들은 급할 필요 없음.
: 급하게 오르는 종목은 차익실현 후 현금확보(포트의 30%)
▶️주간전략
: 1)ROE와 OPM이 탄탄한 기업 2)공급부족(초과수요)이 지속되는 기업 3)낙폭과대 상태인 기업 위주로 접근 + 연말 배당관련주
: 12월 2주차는 코스피가 2,500pt를 돌파& 2,400pt유지에 도전하는 주. 코스피 주봉은 윗꼬리가 긴 양봉 마감. 현재 수준에서 지지 후 상승 추세를 기대해 볼 만한 자리에 있음.
: 1)ROE와 OPM과 3)낙폭과대의 경우 정리한 파일 참고(3Q기준 ROE 5%이상/OPM 5%이상, 1W낙폭과대), 2)공급부족의 경우 블루칼라 업종일 경우가 큼. 실제로 빅테크는 적극적인 구조조정과 재고관리에 들어갔음. 따라서 네옴시티 or 방산 테마가 붙어있는 종목들은 꾸준히 관심을 가져야함. + 반도체/IT부품
: 또한 가격매력도가 있는 반도체/IT전기/전자/부품/ 5G 등 향후 업종의 실적 턴어라운드가 나올 수 있는 종목을 발굴하는 노력 지속
: 산타랠리 가능성과, Bad is Bad 가능성을 함께 고려하며 보수적 대응.(시장은 우려는 반영, 하지만 실제로 나타나면?)
: 지수에 대한 부담은 존재, 현금 비중 30%는 가져가는 전략 유효
[금일 증시 일정]
✅수/12월 7일
[한국] 이재명 민주당 대표, 첫 기자간담회 개최
[한국] 카카오 개발자 컨퍼런스 if 개최
[한국] 블록체인 진흥주간 행사
[미국] 21:00_주간 MBA 모기지신청건수
[미국] 22:30_3분기 비농업부문 노동생산성
[미국] 00:30_주간 원유재고
[미국] 05:00_10월 소비자신용지수
[유로존] 19:00_3분기 국내총생산(GDP) 3차 추정치
[독일] 16:00_10월 산업생산
[영국] 16:00_11월 할리팩스 주택가격지수
[중국] 12:00_11월 무역수지
[중국] 17:00_11월 외환보유액
[일본] 08:50_11월 외환보유액
[일본] 14:00_10월 경기동향지수
🇺🇸미국실적발표: 게임스탑(G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