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ning 브리핑

2023. 03. 30 (목) 오전 시황

● 3/29(현지시간) 뉴욕증시 큰 폭 상승, 다우(+1.00%)/나스닥(+1.79%)/S&P500(+1.42%) 채권시장 안정 속 위험 선호 심리 회복(+), 마이크론 등 기술주 강세(+)

● 이날 뉴욕증시는 채권시장 변동성이 줄어들면서 안정된 모습을 보인 가운데, 위험 선호 심리가 회복되며 3대 지수 모두 큰 폭 상승.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1.00%, 1.42% 상승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도 1.79% 상승. 특히, 마이크론 등 주요 기술주들의 강세가 두드러짐.

● 이번 은행권 불안이 일단 소강 상태를 보이는 가운데, 뉴욕채권시장 변동성이 줄어들면서 위험 선호 심리가 회복되는 모습. 뉴욕채권시장에서 연방준비제도(Fed) 통화정책에 민감한 미국 2년물 국채금리는 장중 전거래일과 비슷한 4.1% 안팎에서 움직였음. 글로벌 장기시장금리 벤치마크인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3.6% 내외에서 움직였음.

 최근 은행권 리스크 지속 등에 널뛰던 채권시장이 다소 안정된 모습을 나타냈고, 이에 투자 심리가 개선. 특히, 마이크론 등 주요 기술주들의 강세가 두드러짐.  

 마이크론은 회계연도 2분기(지난해 12~올해 2월) 매출액 36억9,000만 달러, 영업손실 23억1,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발표. 이는 시장 예상치를 하회하는 수치로, 분기 사상 최대 손실. 마이크론은 전일 장 마감 후 예상을 하회한 실적과 가이던스 발표에도 낙관적인 업황 발표 등으로 7% 넘게 상승했음. 아울러 인텔, AMD, AMAT, 엔비디아, 램리서치 등도 강세를 나타냈으며 이에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3% 급등.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알파벳A, 테슬라, 넷플릭스 등 대형 기술주들도 동반 상승.

● 은행권 리스크가 완화되면서 은행주들도 강세를 보임. 지역 은행들의 파산에도 당국이 발 빠르게 대응하며 위기가 진정 국면에 들어선 가운데, 다음 위기에도 당국이 나서 해결할 것이란 기대감이 이어지고 있음.

 한편, 이날 발표된 잠정주택판매는 석 달 연속 증가했지만, 증가세가 둔화됐음. 전미부동산중개인협회(NAR)에 따르면, 2월 잠정주택판매 지수는 전월대비 0.8% 상승한 83.2를 기록해 석 달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음. 다만, 전월 8.1% 상승보다 둔화됐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21.1% 하락했음.

[금일 증시 일정]

– 지아이이노베이션 신규상장 예정

– 美) 4분기 GDP 확정치(현지시간)

– 토마스 바킨 리치먼드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 국회, 본회의 개최 예정

– 한미 통상장관회담 개최

– 서울모빌리티쇼 개최 예정

– 쌍용차, 중형 전기 SUV 공개 예정

– 넥슨게임즈, ‘베일드 엑스퍼트’ 파이널 베타테스트 예정

– 美)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현지시간)

– 유로존) 유럽중앙은행(ECB) 경제보고서(현지시간)

– 유로존) 3월 경기체감지수(현지시간)

– 독일)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예비치(현지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