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ning 브리핑
2023. 04. 04 (화) 오전 시황
![](https://mateasset.com/wp-content/uploads/2023/04/오전지수-1.png)
● 뉴욕증시 혼조, 다우(+0.98%)/나스닥(-0.27%)/S&P500(+0.37%) 유가 급등 속 에너지株 강세(+), 인플레이션 우려 재부각(-), 美 제조업지표 부진(-)
● 이날 뉴욕증시는 OPEC플러스(OPEC+)의 추가감산 소식에 에너지 기업들이 강세를 보였지만, 인플레이션 재발 우려가 커지면서 혼조세로 장을 마감.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0.98%, 0.37% 상승한 반면,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0.27% 하락.
●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비(非)OPEC 주요 산유국들의 협의체인 OPEC플러스(OPEC+)의 추가감산 소식이 전해짐. 현지시간으로 2일 OPEC+ 산유국들은 시장 안정을 위해 5월부터 자발적으로 감산에 돌입한다고 밝힘. OPEC 종주국인 사우디아라비아가 앞장서서 산유량을 하루 50만 배럴을 줄이기로 했고 이라크가 21만1,000 배럴, UAE가 14만4,000 배럴, 쿠웨이트가 12만8,000 배럴을 각각 감산할 것으로 알려짐. 여기에 러시아는 올해 3~6월 실행 중인 하루 50만배럴 감산을 연말까지 연장한다는 방침으로 알려짐. 이번 결정은 지난해 10월 OPEC+ 정례회의에서 올해 연말까지 하루 200배럴 감산하기로 했던 것과는 별도의 조치로 시장에서는 유가의 추가 상승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골드만삭스 원자재 글로벌 책임자인 제프리 큐리는 “오펙의 가격 결정력은 그 어느 때보다 높다”며, “2024년 12월 전망치를 배럴당 97달러에서 배럴당 100달러로 높인다”고 밝힘.
● 이에 이날 국제유가는 급등세를 기록.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5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 대비 4.75달러(+6.28%) 급등한 80.42달러에 거래 마감.
美 제조업 등 주요 경제지표가 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경기 침체 우려도 커지는 모습. 미국 공급관리협회(ISM)는 3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46.3을 기록했다고 밝힘. 이는 2020년 5월 이후 거의 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임. S&P 글로벌이 집계하는 美 3월 제조업 PMI도 49.2로 위축 국면에 머물렀음. 美 상무부가 발표한 2월 건설지출은 계절 조정 기준으로 전월대비 0.1% 감소해 시장 예상치를 하회했음.
이날 채권시장은 유가 충격에도 美 제조업지표 부진 등에 강세를 나타냈고, 달러화는 약세를 기록.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상승.
[금일 증시 일정]- 대만 증시 휴장
– EU고위대표-美국무장관 에너지 안보 관련 회동 예정(현지시간)
– 리사 쿡 연준 이사 연설(현지시간)
– 데이비드 맬패스 세계은행 총재 연설(현지시간)
– 수잔 콜린스 보스턴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 국제박람회기구(BIE) 실사단 부산 방문 예정
– 3월 소비자물가동향
– 美) 2월 구인 및 이직(JOLTs) 보고서(현지시간)
– 美) 2월 공장주문(현지시간)
– 유로존) 2월 생산자물가지수(PPI)(현지시간)
– 독일) 2월 무역수지(현지시간)
– 日) 3월 본원통화
– EPL) 에버턴 VS 토트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