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ning 브리핑

2023. 04. 05 () 오전 시황

 뉴욕증시 하락, 다우(-0.59%)/나스닥(-0.52%)/S&P500(-0.58%) 美 경제지표 부진 속 경기 침체 우려 부각(-)

 이날 뉴욕증시는 유가 급등에 따른 충격이 이어진 가운데, 주요 경제지표가 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진 영향으로 3대 지수 모두 하락.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0.59%, 0.58% 하락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도 0.52% 하락.

 유가 급등에 인플레이션이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 가운데, 주요 경제지표가 예상보다 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음. 이날 공개된 2월 구인이직보고서(JOLTs)에 따르면, 구인건수가 전월대비 63만건 감소한 990만건을 기록했음. 이는 시장 예상치(1,040만건)를 하회하는 수치로, 2021년 5월 이후 약 2년 만에 1,000만건 아래로 떨어졌음. 美 상무부가 발표한 2월 공장재 수주도 전월대비 0.7% 감소하면서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기대치를 웃도는 감소폭을 기록. 1월 공장재 수주 수정치는 기존 1.6% 감소에서 2.1% 감소로 악화했음. 기업의 채용과 공장 주문 모두 줄어들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됐음.

 애틀란타 연방준비은행의 국내총생산(GDP) 추정 모델인 GDP 나우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성장률은 연율 1.7% 수준으로 전망됐음. 이는 약 2주 전까지만 해도 3.5%를 나타냈던 성장률 전망치가 급속하게 하향 조정된 것임. 투자자문사 에버코어 ISI의선임 이사 줄리앙 엠마뉴엘은 CNBC에 출연해 올해 경기 침체를 전망했음.

 다만, 경기 침체 우려 속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인상 속도 조절 기대감은 커지는 모습. 통화정책에 민감한 美 2년물 국채금리는 급락세를 나타냈으며, 글로벌 장기시장금리 벤치마크인 美 10년물 국채금리도 큰 폭의 하락세를 기록.

[금일 증시 일정] 美) 2월 무역수지(현지시간)
 美) 3월 ADP취업자 변동(현지시간)
 美) 3월 ISM 비제조업지수(현지시간)
 중국, 홍콩, 대만 증시 휴장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美하원의장·대만 총통 회동 예정(현지시간)
 尹 대통령, 美하원 외교위원장 접견 예정
 마인즈랩 ‘마음에이아이(maum.ai) 2.0 오픈’ 컨퍼런스 개최 예정
 현대차/SK이노베이션, 현대차-SK온 美 조지아주에 배터리 합작공장 40억 달러 이상 투자 관련 재공시 기한
 다올투자증권, 자회사 태국법인 매각 추진 관련 재공시 기한
 美) 3월 합성 PMI 확정치(현지시간)
 美) 3월 서비스업 PMI 확정치(현지시간)
 美) 주간 MBA 모기지 신청건수(현지시간)
 美) 주간 원유재고(현지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