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ning 브리핑

● 코스피 2,386.09pt/코스닥 711.82pt 마감. 전일 미 증시, EWY(한국 ETF, +0.74%) 상승, EEM(신흥국 ETF, +0.66%) 상승과 원달러 환율 약하락/Eurex 코스피200 선물(+0.32%) 상승 마감에. 코스피는 0.3%내외 상승 출발 예상.

● 미국증시는 경기 위축 우려에도 소비 심리지수 개선(발표 64.6/예상 60.0/이전59.7)되며 상승 마감. 금융주의 추가적인 충당금 증가는 경기에 대한 우려를 자극하며 하락출발했지만, 소비 심리 지표 개선과 하반기 실적 개선 전망이 부각되며 상승 반전 마감. 전반적으로 자동차 업종 주가가 부진했는데, 테슬라의 치킨게임 이후 타 업체들의 점유율 및 OPM 하락이 예상되며 리비안(-6.43%)/포드(-5.29%)/GM(-4.75%)이 강하게 하락. 반면 전기차 침투율은 가속화될 것으로 보여지며 퀀텀스케이프/블링크 충천 등은 상승 마감.

● 일간전략

– 상승 마감에 따른 국내증시도 견조한 흐름이 예상되나 여전히 지수는 단기 급등에 따른 부담스러운 구간에 진입.
주말 UAE 투자금 40조, 원전/방산/수소/태양광에 투입 기사가 나왔기에 단기적으로 수급이 쏠릴 능성이 큼. 기대감 이후 숫자로 보여주는지 여부가 중요.
당연히 많이 오른 기업들, 작년 주도주들 보다는 소외된 업종에서 턴어라운드 기대감이 있는 기업을 찾는것이 좋아보임.
내수 의류/자동차/철강/음식료/방산 등
더불어 주주환원/MSCI 편입 등 굵직굵직한 이슈는 지속해서 추적해야 함.
최근 대형주들의 강세가 나오고 있음. 지속해서 언급했지만, 대형주의 상승동력만 있다면 바닥에서 2~30%는 쉽게 오름(어려운 주식시장에 포기하면 안 되는 이유)
특히 순환매 전략으로 제시했던 2차전지와 원자력 섹터(+방산)가 하방을 다지고 상승하는 모습은 긍정적, 이 상승세가 유지된다면 지수는 견고한 움직임을 보일 예정
주식시장은 위험자산 선호심리에 견조한 움직임을 보이겠지만, 단기 급등에 따라 조정 후 추세를 타고 진입&비중확대하는 것이 좋아보임.
더불어 연준 위원들의 덜 매파적인 발언이 지속되고 있기에 연준이 단언했던 23년 금리인상 후 지속은 변동될 여지가 충분하다는 인식이 이어질 듯
중국 리오프닝 관련, 1분기 실적 가시화 여부 반드시 체크, 오르면 적극적으로 차익실현해주는 것이 계좌를 방어하는 방법 중 하나.
다소 변동성은 있지만, CME Fed watch 추정 내년 최종 금리는 5.00% 수준
2차전지 초과공급 노이즈는 지속되는 가운데, 단순 Q 성장보다는 계획적인 CAPEX 투자 기업을 선별하는 것이 중요.

  • 다우존스 34,302.61 / +0.33%
  • 나스닥 11,079.16 / +0.71%
  • S&P500 3,999.09 / +0.40%

📈강세업종: 경기민감주(+0.89%)/커뮤니케이션(+0.72%)/헬스케어(+0.64%)
📉약세업종: 유틸리티(-0.47%)/부동산(-0.40%)
📈강세테마: 중국헬스케어(+3.04%)/중국인터넷(+2.91%)/유가(+2.10%)/중국(+1.62%)/블록체인(+1.37%)
📉약세테마: 2차전지(-0.83%)/브라질(-0.74%)/부동산(-0.62%)/풍력(-0.54%)

[금일 증시 일정]
✅월/1월 16일

[글로벌] 다보스 포럼
[한국] 08:55_12월 무역수지
[한국] 에스엠, 갓더비트 첫 미니음반 발표
[한국] 삼성전자, 갤럭시 북2 프로360 출시
[한국] 이엔드디 상호 변경(에코앤드림)
[미국] 증시 휴장(마틴 루터킹 추모)
[중국] 10:30_12월 주택가격지수
[일본] 08:50_12월 생산자물가지수(PPI)
[일본] 15:00_12월 공작기계수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