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ning 브리핑

▶️한국증시

: 코스피 -0.43%, 코스닥 -0.18%, 한국 증시는 전일 미국증시의 경기침체 우려 하락에 하방 압력이 강해지며 하락출발했으나, 장중 중국 코로나 정책 소식에 상승전환. 3시 이후 매물 나오며 하락 마감. 중국의 사실상 제로코로나 정책 해제에 리오프닝 관련주 강세(LCC/백화점/면세점/화장품 등), 코스피는 보험/운수창고/철강및금속 강세, 금융업/건설업/화학 약세, 코스닥은 섬유/의복/음식료/유통 강세, 통신서비스/비금속/건설 약세

▶️미국증시

: 다우존스 0.00%, 나스닥 -0.51, S&P500 -0.19%, 미국증시는 견조한 소비자신용에도 불구하고 시장에서 지속되는 경기침체 이슈에 하방 압력 가중. 특히, 테슬라와 애플의 수요/공급 문제가 해당 이슈를 강화.
ETF추이로 국가별로는 중국 약세, 변동성 상위로는 주택(+1.84%)/2차전지(+1.40%)/채권(+1.06%)/의료기기(+1.02%) 강세, 항공(-3.26%)/유가(-2.42%)/인터넷(-2.27%)/온라인(-2.02%) 약세, 종목별로 중국 완성차인 니오(-4.98%)/샤오펑(-5.90%)/미국 테슬라(-3.21%) 약세.

▶️일간전략

: 코스피 2,382.81pt/코스닥 718.14pt 마감. 전일 미 증시, EWY(한국 ETF, +0.54%) 상승, 신흥국 ETF(-0.59%) 하락과 원달러 환율 상승/Eurex 코스피200 선물(+0.15%) 상승 마감에. 코스피는 0.5% 내외 상승 출발 예상.
: 최종금리와 경기침체 이슈가 변동성을 키우는 변동성장세에서는 신규 진입 시 지지선&저항선을 정하여 기계적인 매매
: 코스피 지수가 2,400pt를 회복 마감하는지 추적.
: 중국의 정책 완화에 따라 리오프닝 섹터 지속 관심(23년 수요의 중심이 될 수 있을지?)
: 다만 이러한 시그널들이 완화되는 타이밍에는 소외된 저평가주 중심으로 비중 확대(반도체/자동차/5G/통신 등)
: 외인/기관 순매수 업종과 낙폭과대 종목 및 산업을 정리하며 포트 압축 대응(일부 2차전지 소재&장비/반도체/통신 등) -> 이미 상승한 기업들은 급할 필요 없음.
: 급하게 오르는 종목은 차익실현 후 현금확보(포트의 30%)

▶️주간전략

: 1)ROE와 OPM이 탄탄한 기업 2)공급부족(초과수요)이 지속되는 기업 3)낙폭과대 상태인 기업 위주로 접근 + 연말 배당관련주
: 12월 2주차는 코스피가 2,500pt를 돌파& 2,400pt유지에 도전하는 주. 코스피 주봉은 윗꼬리가 긴 양봉 마감. 현재 수준에서 지지 후 상승 추세를 기대해 볼 만한 자리에 있음.
: 1)ROE와 OPM과 3)낙폭과대의 경우 정리한 파일 참고(3Q기준 ROE 5%이상/OPM 5%이상, 1W낙폭과대), 2)공급부족의 경우 블루칼라 업종일 경우가 큼. 실제로 빅테크는 적극적인 구조조정과 재고관리에 들어갔음. 따라서 네옴시티 or 방산 테마가 붙어있는 종목들은 꾸준히 관심을 가져야함. + 반도체/IT부품
: 또한 가격매력도가 있는 반도체/IT전기/전자/부품/ 5G 등 향후 업종의 실적 턴어라운드가 나올 수 있는 종목을 발굴하는 노력 지속
: 산타랠리 가능성과, Bad is Bad 가능성을 함께 고려하며 보수적 대응.(시장은 우려는 반영, 하지만 실제로 나타나면?)
: 지수에 대한 부담은 존재, 현금 비중 30%는 가져가는 전략 유효

[금일 증시 일정]
✅목/12월 8일

[한국] 선물/옵션 동시만기일네마녀의 날 [한국] 위믹스 상장폐지 예정 [한국] 프롬바이오 아마존 공식 온라인스토어 입점 [한국] 신한금융지주, 차기 회장 최종후보 결정 [한국] 핑거스토리 스팩합병 상장 예정 [미국] 디즈니플러스 가격 인상 [미국] 22:30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일본] 08:50_3분기 GDP 수정치
[일본] 08:50_10월 경상수지 및 11월 은행대출
🇺🇸미국실적발표: 코스트코(COST), 룰루레몬(LUL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