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시위 확산에 방역 대책 추가 발표
[사회]
중국, 시위 확산에 방역 대책 추가 발표
– 중국에서 고강도 방역 조치에 반대하는 시위가 확산하는 가운데 중국 당국이 노인층 백신 접종 확대를 위한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 방역 조치를 완화할 경우 취약계층인 노인층의 감염이 급증할 수 있고, 이는 의료 시스템 마비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인데요. 중국 당국이 방역 조치 완화를 꺼리는 이유기도 합니다.
– 서방 국가들은 확산하는 시위를 통제하는 중국 당국에 평화적 시위를 보장하라고 요구했는데요. 중국에선 아무런 글자도 쓰여있지 않은 백지를 들고 시위에 나서는 사람들이 늘고 있으며, 중국 공안당국은 이들에 대한 강경 진압에 나서고 있습니다.
[사회]
수낵 영국 총리, 중국에 날 선 비판
– 리시 수낵 영국 총리가 28일 런던금융시장 만찬 연설에서 “영국과 중국 간의 ‘황금시대’는 끝났다”라고 선언했습니다. 이어 중국을 비판하는 말을 여럿 쏟아냈는데요.
– 2020년 이후 틀어진 중국과 영국의 갈등이 더욱 심해질 전망이죠.
– 최근 인도·태평양 전략 문서를 발표하고 중국 견제를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캐나다, 중국의 인권 탄압 등을 비판하고 있는 유럽 등 서방 여러 국가가 중국에 점점 강경한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사회]
서울교통공사 노조, 30일 총파업 돌입
– 30일 오전 6시 30분부터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 노동조합이 파업에 돌입합니다.
– 서울교통공사는 출퇴근 시간에는 대체 인력을 투입할 계획인데요. 실제로 30일 출근 시간에는 1호선이 5분가량 지연된 것을 제외하면 정상 운행 중입니다. 다만, 출퇴근 시간을 제외한 시간대에는 운행 차질을 피할 수 없을 전망이죠.
– 오는 12월 2일부터는 1·3·4호선을 운영하는 코레일이 속한 철도노조도 총파업을 예고했습니다.
[경제]
10월 산업생산 30개월 만에 가장 크게 감소
– 10월 우리나라의 전산업 생산이 전월보다 1.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벌써 네 달 연속 감소세인데다, 감소 폭은 2020년 4월 이후 30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는데요.
– 자동차와 반도체 장비 생산이 감소하며 제조업 등 광공업생산이 3.5% 감소했고, 서비스업 생산도 0.8% 감소했습니다.
– 소비 동향을 나타내는 소매판매액지수도 0.2% 감소했는데요. 올 가을 예년보다 따뜻한 날씨가 이어지며 의류 소비가 줄었고, 승용차와 내구재 판매가 감소했습니다. 통계청은 올 4분기 이태원 참사의 영향으로 소비가 더 위축될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특징테마]
정부 전기차 무선충전 규제 개선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 지난 9일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디지털산업 활력제고 규제혁신 방안’을 발표. 이번 규제 혁신 방안에는 전기차 무선충전 활성화 방안이 포함되어 있으며, 정부는 연말까지 전기차 무선충전 용도의 주파수(85KHz)를 공고해 기기 상용화 기반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 글로벌 무선충전 시장은 2030년 유럽.북미.중국 등을 중심으로 성장이 예상되며, 50조원에 육박하는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시장조사기관인 스트레티지 마켓 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무선충전 시장은 2021년 약 54달러에서 2030년 약 346억달러(약 47조원) 규모로 커질 전망입니다.
-> 관련주 : #포스코ICT #켐트로닉스 #아모센스 #동양이엔피 #에스트래픽
‘전기차 무선충전’ 눈앞…”자율차 알아서 충전패드로 이동” ::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 (newsis.com)
[특징테마]
11월 이례적 한파 등에 상승
– 금일 전국의 기온이 크게 떨어지면서 전국에 한파경보/한파주의보가 발효됐습니다. 기상청에 따르면, 내일도 한파가 지속될 것으로 예보 했으며, 내일 기온은 금일보다 1~5도 가량 더 떨어져 매우 추울 것으로 전망했으며, 이번 추위가 오는 1일 절정으로 2일까지 계속이라고 밝혔습니다.
-> 관련주 : #경동도시가스 #인천도시가스 #지에스이 #대성에너지 #경동나비엔
[오늘 날씨] 체감 영하 20도… 11월 이례적 ‘한파경보’ – 머니S (mt.co.kr)
[특징테마]
대마 관련 규제 개선 정책 연구 착수 소식 등에 상승
– 일부 언론에 따르면, 식약처는 대마 관련 규제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 연구에 5,000만 원의 예산을 투입하기로 하고 용역 사업자를 모집하는 공고를 냈다고 전했습니다.
– 이번 연구에서는 대마 성분 의약품 제조/수입 허용에 따른 사회/경제적 편입을 분석하고 대마 규제 개선 관련 입법 경과를 검토해 사회적 합의 도출 방안을 마련할 계획으로 연구를 통해 대마 재배 기록 관리/보안 강화 방안 등 지자체별 효율적으로 적용 가능한 조례안이 제시될 예정입니다.